인천시는 인천에 사는 1인가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실태조사는 관련 조례에 따라 1인가구의 생애주기별 특성과 성별에 따른 문제 및 정책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약 4개월간 3057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맞춤형 1인가구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가 되는 심층면접조사는 21개 그룹 103명을 대상으로 했다.
지난 5년간 인천의 1인가구는 연평균 6.7%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 5.5%를 상회한다.
또 지난해 기준 인천의 전체 일반가구 중 1인가구 비율은 32.5%로 울산(31.6%)과 경기(31.7%)를 제외한 다른 광역지방자치단체보다 낮았지만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군·구별로는 옹진군(48.5%), 중구(41.7%), 미추홀구(37.2%) 등 순으로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반대로 연수구(26.3%), 서구(28.4%), 계양구(31.4%) 등은 인천 평균보다 낮았다.
실태조사에서 1인가구가 된 주요 이유로는 이혼·별거·사별 등 관계 단절 요인(50.1%)이 가장 많았고 일 또는 학업(35.6%), 개인의 편의와 자유(9.7%)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청년층은 학업 및 직장 등 자발적 이유, 중장년층 이상은 관계 단절에 따른 비자발적 요인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생활의 어려움으로는 아플 때나 위급 상황(29.9%), 식사 준비 등 일상적 가사활동(13.4%), 고독과 외로움(8.8%) 등 순으로 응답했다. 희망하는 여가활동으로는 산책·나들이·여행(22.2%), 친구 만남 등 친목 활동(18.8%), 운동(13.7%) 등이 주로 꼽혔다.
정책적 지원이 가장 필요한 분야로는 주거 안정(30.3%), 경제 자립(29.2%), 건강 관리(8.8%) 등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결과적으로 경제 기반 확립과 주거비 부담 완화가 1인가구의 핵심 과제라는 것을 보여줬다.
신병철 시 보건복지국장은 “인천시는 앞으로 신설 예정인 ‘외로움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1인가구가 실질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정책 발굴과 지원체계 고도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