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캔복지재단 ‘돌봄통합지원법 이해와 과제’ 포럼 개최

입력 2025-11-08 21:37 수정 2025-11-08 21:38
전선영 위드캔복지재단 이사장이 지난 7일 용인대학교 무도대학 벽소홀에서 열린 ‘사회복지현장에서 통합돌봄지원제도의 이해와 과제’ 포럼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위드캔복지재단 제공

위드캔복지재단이 2026년 시행을 앞둔 ‘돌봄통합지원법’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돌봄 현장 과제를 논의하는 포럼을 열었다.

위드캔복지재단(이사장 전선영)은 지난 7일 용인대학교 무도대학 벽소홀에서 ‘사회복지현장에서 통합돌봄지원제도의 이해와 과제’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돌봄통합지원법의 주요 내용을 공유하고, 사회복지 현장의 실질적 대응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현장 사회복지사와 보건·의료·돌봄 관련 기관 종사자, 학계 전문가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전선영 이사장(용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은 “돌봄통합지원법은 요양·의료 연계를 포함한 지역돌봄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며 “민과 관이 함께 아우르는 통합 네트워크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법 시행이 임박한 지금, 현장 사회복지사들이 제도를 정확히 이해하고 실천 방안을 구체화할 때”라고 덧붙였다.
전선영 위드캔복지재단 이사장이 지난 7일 용인대학교 무도대학 벽소홀에서 열린 ‘사회복지현장에서 통합돌봄지원제도의 이해와 과제’ 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위드캔복지재단 제공

이날 주제발표를 맡은 황경란 박사(경기복지재단)는 “2040년 이후 노인 1인 가구가 40%를 넘을 전망”이라며 “급속한 고령화로 인한 돌봄·의료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촘촘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황 박사는 돌봄통합지원법의 제정 배경과 추진 절차, 지역사회 기반 통합돌봄의 주요 구성 요소를 정리하며 법 시행의 의미를 설명했다.

지정토론에서는 지자체·기관·현장 전문가들이 각자의 관점에서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최미현 광명시청 복지정책과장은 지방정부의 조정 및 연계 기능 강화를 제언했고, 이훈 판교종합사회복지관장은 법 시행 전 점검해야 할 한계와 현장 적용 가능성을 짚었다.

장지훈 사회적협동조합 공드림 통합돌봄센터장은 기관별 서비스 모델 특화와 연계·조정 프로세스를 소개했으며, 박정미 고양시덕양노인종합복지관 부장은 고양시 사례를 중심으로 민·관 협력과 제도 정착 방안을 공유했다.
전선영 위드캔복지재단 이사장. 위드캔복지재단 제공

포럼 참가자들은 통합돌봄 정책의 추진 배경과 제도 변화의 흐름을 점검하고, 기관 간 협력과 역할 분담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 또한 정책 변화에 대응할 실질적 실행 전략을 논의하며 커뮤니티케어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포럼의 좌장을 맡은 전선영 이사장은 “돌봄은 사회적 욕구이자 기본 권리”라며 “이용자 중심을 넘어 삶 전 과정을 함께 설계·지원하는 사람 중심 통합돌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복지·의료·주거·고용·지역사회의 모든 체계가 연결될 때 비로소 완성된다”고 말했다.

위드캔복지재단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사람 중심 계획에 입각한 돌봄 실천 ▲기관 간 울타리 제거와 연계·협력 강화 ▲현장 지속가능성 확보를 중점 과제로 삼아 정책 연계와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