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대장급 전원 교체에 이어 3성 장군을 다수 바꾸는 인사를 단행할 전망이다. 12·3 비상계엄 사태로 홍역을 치렀던 만큼 ‘인적 쇄신’에 나서겠다는 취지다.
7일 군 소식통 등에 따르면 국방부는 이르면 다음 주쯤 육·해·공군 중장 다수를 교체하는 인사에 나설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의 3성 장군 직위는 33개인데, 이들 중 많으면 수십 명이 교체 대상이 될 전망이다. 군 소식통은 “이번 인사에서 여러 명이 대거 교체된다는 말도 들린다”며 “큰 폭의 물갈이가 있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합동참모본부도 소속 장성급 다수와 2년 넘게 근무한 중령 이상 영관급 장교를 교체하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장성 전체를 교체하진 않고 일부 장군만 교체할 전망이다. 예컨대 대체할 인력이 없는 자리는 기존 근무자를 바꾸지 않지만 바꿔도 문제가 없는 자리는 교체를 통해 인적 쇄신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국방부와 합참은 인사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국방부 관계자는 “장성 인사는 확인해드릴 수 없다”고 밝혔다. 합참 관계자는 “인사쇄신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나 현재 결정된 사안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국방부와 합참의 인사가 단행된다면 김영삼정부 당시 하나회 숙청에 버금가는 대규모 물갈이 인사가 될 전망이다. 이재명정부가 12·3 비상계엄을 ‘내란’으로 규정하는 만큼 이에 가담했던 군의 인적 쇄신을 도모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앞서 군은 지난 9월 합참의장을 비롯해 육·해·공 참모총장,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등 대장급 7명을 전원 교체하는 강수를 뒀다.
그러나 일각에선 장성급 인원을 대거 교체하면 안보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여러 명에 대한 인사가 이뤄지려면 대규모 진급도 있어야 하기에, 계급별로 연쇄적 인원 공백이 발생한다는 지적도 있다. 군 관계자는 “수십명을 교체하려면 그 자리를 대체하기 위한 인원들을 한꺼번에 진급시켜야 하기에 (대규모 인사는) 말이 안 된다”며 “(진급이 없는) 수평 이동은 있을 수 있지만 전체 인원이 한 번에 옮기는 건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