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방위기 탈출 위해 조직개편·공공기관 유치 나서

입력 2025-11-06 11:08 수정 2025-11-06 12:59
대구시청 산격청사 모습. 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인구 감소 등 지방위기 극복을 위해 체질 개선에 나선다. 조직을 정비하고 공공기관을 적극 유치해 재도약의 기회로 삼을 방침이다.

시는 정부의 균형발전 기조에 발 맞추고 대구경북신공항(이하 TK신공항) 건설 등 지역 핵심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조직 개편을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시는 최근 개편 내용을 담은 ‘대구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입법예고했다. 내년부터 시행할 수 있도록 이달 중순 일부개정조례안을 대구시의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정부의 5극3특 정책에 맞춰 결이 다른 대구경북행정통합추진단을 폐지한다. 기존의 광역협력담당관을 ‘광역행정담당관’으로 명칭을 바꾸고 ‘광역정책팀’을 신설한다. TK신공항 재정 확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공항건설단에 ‘공항재정과’를 신설하고 정부의 인공지능(AI) 활성화 기조에 따라 기존 ABB산업과를 ‘AI정책과’로 바꾼다. 신공항정책국이 해온 이주대책 계획 수립·보상에 관한 업무는 신공항건설국으로 이관하고 군부대 이전 터 개발 관련 업무는 도시주택국에서 군사시설이전정책관으로 옮긴다.

시는 공공기관 2차 이전 유치전에도 시동을 걸었다. 최근 ‘공공기관 2차 이전 유치위원회’(이하 유치위원회)를 출범시켰다. 2차 공공기관 이전은 새 정부 국정과제로 채택돼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시는 지역 혁신성장과 신산업 육성, 1차 이전 공공기관과의 시너지 효과 등을 고려해 30개 공공기관을 중점 유치 대상으로 선정했다. 특히 중소기업 비중이 전국 최고인 산업구조와 1차 이전기관인 신용보증기금과의 연계를 고려해 IBK기업은행을 최우선 유치 대상으로 삼았다. 데이터산업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공공기관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환경공단 등 지속가능한 성장을 지원할 기관도 유치 대상에 포함시켰다.

유치위원회는 공공기관별 맞춤형 유치 전략을 마련하고 국회와 관련 부처 등에 대구의 교통과 교육, 의료 등 우수한 입지 여건을 홍보할 계획이다. 신서혁신도시 잔여 부지, 법원·검찰청 이전 터, 수성알파시티 등 지역 내 이전 후보지 발굴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