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AI(인공지능)정부’로 나아가기 위해 조직 내 ‘인공지능정부실’을 신설한다. 또한 국민주권 및 균형발전 강화와 지방소멸·인구위기 극복 등 과제 해결을 위해 ‘자치혁신실’과 ‘사회연대경제국’도 새로 설치한다.
윤호중 행안부장관은 5일 취임 100일을 맞아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기자 브리핑에서 이 같은 내용의 조직개편 계획을 밝혔다.
윤 장관은 “핵심과제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하려고 한다”며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신속하게 창출하는 실행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행안부는 6일 조직개편안을 입법예고할 계획이다.
먼저 행안부는 기존 디지털정부혁신실을 없애고 인공지능정부실을 신설했다. 전자정부, 디지털정부로 이어져 오던 정책 방향을 AI정부로 진화, 전환하자는 취지다.
인공지능정부실은 인공지능정부정책국과 서비스국, 기반국 등 3개국으로 구성된다. 디지털정부혁신실은 최근 국가 전산망 마비사태를 불러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태에 대응해온 조직이다.
윤 장관은 “그동안 전자정부, 디지털정부 추진은 양적인 부분에 치중했던 측면이 있었다”며 “앞으로는 범정부 재해복구체계 정비 및 다중인증체계 확산 등 질적 고도화를 통해 신뢰받는 AI민주정부로 거듭나겠다”고 전했다.
주민자치 활성화와 사회연대경제 구축,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해 자치혁신실과 사회연대경제국도 새로 들어선다. 기존 균형발전지원국은 ‘균형발전국’으로 개편되며 국 아래에 ‘기본사회정책과’가 신설된다. 지역소멸위기를 극복하고, 국민들의 기본적 삶 보장을 위한 정부 역할을 주도해 나갈 계획이다.
이밖에 정부혁신국은 ‘참여혁신국’으로 바뀐다. 주민참여에 방점이 찍혔다. 신설되는 ‘국민참여정책과’를 중심으로 국민주권 정부 관련 정책을 시행할 계획이다.
조직개편이 완료되면 행안부는 기존 ‘1차관보·6실·1대변인·27국·관’에서 ‘7실·1대변인·28국·관’ 체계로 전환된다. 차관보 직제는 사라진다.
윤 장관은 “행안부는 국민의 행복과 안전을 책임지는 가장 일선에 있는 부처라는 생각으로 최선을 다하겠다”며 “국민의 안전과 행복을 지키는 ‘행복안전부’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