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경기침체 속 지원 확대…소상공인 경쟁력 높인다

입력 2025-11-05 10:51
한가위 맞이 전통시장에 방문한 이동환 고양시장. 고양시 제공

경기 고양시가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위해 자금·시설·디지털·상권 조직 등 전방위 지원에 나서며 지역경제 활력 회복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고양시는 단순한 재정지원에 그치지 않고 경영환경 개선, 디지털 전환, 상권 조직화까지 아우르는 종합 전략을 추진 중이라고 5일 밝혔다.

우선 시는 경기신용보증재단과 협력해 ‘소상공인 특례보증사업’을 운영, 담보력이 부족한 영세사업자의 자금난 해소를 지원하고 있다. 시 출연금을 재원으로 한 특례보증을 통해 제1금융권 은행 대출이 가능하며, 업체당 최대 5000만원까지 보증받을 수 있다.

2022년 7월부터 올해까지 총 2092명에게 605억원 규모의 보증이 이뤄졌고, 올해만 761명에게 219억원이 지원됐다. 특히 중·저신용자 693명(150억원), 청년 소상공인 112명(30억원)에게 별도 자금을 지원해 금융 사각지대를 해소했다.

시설개선과 디지털 전환 지원도 병행된다. 시는 ‘소상공인 경영환경 개선사업’을 통해 점포당 최대 300만원을 지원, 리모델링과 간판·조명 개선, POS기기·키오스크 등 디지털 전환까지 폭넓게 돕고 있다.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394개 업체에 10억9200만원, 올해는 58곳에 1억730만원이 투입됐다.

만족도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1.4%가 ‘매우 만족’이라고 답했으며, 매출 향상 효과도 확인됐다. 실제로 조명 개선으로 매출이 증가한 마트, 간판 교체로 점포 이미지를 개선한 음식점 등 다양한 성공 사례가 나타났다.

또한 시는 인사·세무·마케팅 등 전반적인 경영역량 강화를 위해 전문 컨설턴트 4명이 참여하는 맞춤형 컨설팅을 운영, 점포 운영 효율과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있다.

상권 활성화와 조직화에도 힘을 쏟고 있다. 고양시는 경기도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일산시장 연대상권 육성지원사업’을 통해 인접 상권(일산시장·일산서문상점가·일산역 상인회)을 하나의 브랜드로 통합, 특화상품 개발과 상권 행사 등을 추진했다. 총사업비 1억 6천만 원이 투입돼 상인회 역량 강화와 브랜드 정체성 확립에 기여했다.

아울러 온누리상품권 가맹이 가능한 ‘골목형 상점가’ 지정을 확대해 더 많은 소상공인이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올해 ‘화정별빛마을 골목형상점가’를 시작으로 현재 덕양구 6곳, 일산동구 2곳, 일산서구 4곳 등 총 12개소가 등록됐으며, 시는 향후 추가 지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고양시는 앞으로 자금·시설·판로·홍보를 연계한 통합지원 체계를 확대해 소상공인이 스스로 성장하고, 시민이 찾는 활력 있는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지속되는 경기침체 속에서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은 지역경제의 뿌리이자 시민 생활의 기반”이라며 “자금 지원뿐 아니라 경영환경 개선, 상권 조직화 등으로 자생력을 키우는 실질적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