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 바이러스’ 나와 공동체를 선하게 바꾼다

입력 2025-11-04 17:38 수정 2025-11-04 17:44
경기도 시흥 양문교회 교인들이 지난 2일 교회 본당에서 진행된 ‘감사학교’에서 감사의 크기를 손을 들어 표현하고 있다.

감사하는 습관이 삶을 바꿀 수 있을까. 추수감사주일이 있는 가을철을 맞아 교회들을 중심으로 ‘감사 바이러스’를 전파하려는 노력이 확산하고 있다.

“불평과 불만이 가득하면 감사가 들어갈 틈이 없습니다. 감사의 고수는 내 뜻보다 하나님의 뜻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중수는 ‘난 받아야 해. 세상은 공평하지 않아’라는 불평이 앞섭니다. ‘감맹(感盲)’도 있죠. 이런 사람들은 ‘감사 채권자’들이에요. 아예 삶에 감사라곤 없는, 대접만 받기로 작정했죠. 기독교인들이 이래선 안 되겠죠?”

지난 2일 경기도 시흥 양문교회(전종철 목사)에서 진행된 ‘감사학교’에서 아름다운동행 감사학교 교장인 이의용 장로가 교인들에게 감사하는 삶에 관해 설명하며 이렇게 동의를 구했다.

그러면서 참석자들에게 고무로 된 ‘감사 팔찌’를 나눠준 뒤 ‘불평 제로의 삶’을 실천하도록 했다. 먼저 왼팔에 팔찌를 찬 뒤 불평을 할 때마다 팔찌를 옮겨 차면서 불평하는 횟수를 기록하는 식이다. 이를 통해 불평은 줄이고 감사를 늘리자는 취지다. 교인들은 이 장로의 안내에 따라 팔찌를 옮겨가면서 감사하는 삶을 연습했다.

자신을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사람’이었고 소개한 최효인(70) 청죽교회 권사는 4일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감사의 습관으로 성격이 완전히 변했다고 털어놨다. 최 권사는 “공동체에서 감사일기를 작성하자고 했을 때는 불만이 앞섰고 감사 거리를 찾느라 머리가 아플 정도였다”고 말했다.

감사 팔찌 모습. 이의용 장로 제공

공동체에 이끌려 5년 전 시작한 감사일기는 결국 완고했던 최 권사는 변화시켰다. 그는 “깐깐하던 내가 주변 사람들에게 ‘재밌고 편한 사람’이라는 평가를 듣게 됐다”며 “감사일기를 작성하다 보니 언어가 바뀌었고 다른 사람을 이해할 수 있는 넓은 마음이 생겼다”고 밝혔다.

김미숙(57) 하늘꿈연동교회 권사는 2022년부터 하루도 빠짐없이 감사일기를 쓰고 있다. 그동안 쓴 감사일기 노트만 해도 15권이다. 그는 “교회에서 진행하는 ‘119 감사 이야기’를 쓰다 보니 감사에 관한 내용을 계속 생각하게 됐다”며 “감사를 떠올리면 희로애락 모두 하나님의 뜻임을 알게 된다”고 조언했다. 119 감사 이야기는 하루에 한 번, 오전이나 오후 9시에 감사 이야기를 떠올리고 이를 쓰자는 캠페인이다.

감사일기를 쓰다 보니 주변에 고맙다고 느낄 때가 늘었다고도 했다. 김 권사는 “딸이 빵을 사 왔다’ ‘어떤 집사님에게 칭찬을 받았다’ 등 쉽게 잊어버렸을 소소한 감사를 기록하다 보면 주변에 좋은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 알게 된다”면서 “나도 전보다 더 많이 감사하다고 말하는 걸 보면 결국 감사가 전염된다는 걸 깨닫는다”고 전했다.

‘감사의 달인’들은 감사를 반복하면서 작은 것에 감사하는 습관이 생겼다고 했다. 이명순(69) 사모는 ‘마중물’이라는 이름의 독서 모임에서 감사일기를 쓰고 있다. 그는 “그동안 쓴 감사일기를 보면 ‘생각하지 못한 식물에서 꽃이 피었다’거나 ‘아름다운 황혼의 바다에서 노을을 보게 됐다’는 등 작고 소소한 것이 가득한데 결국 그게 모여 감사하는 삶으로 변하더라”고 했다.

경기도 용인 송전교회(권준호 목사)는 지난달 26일부터 두 달 동안 ‘감사로 혁명하라’를 주제로 감사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이 기간 교인들은 ‘감사 저금통’에 자신이 값없이 누리는 공기와 물 시간 생명 등에 대해 감사하며 매일 1000원씩 저금한다. 또 ‘감사행전’을 통해 ‘불평 없이 하루 살기’ ‘이웃에게 감사 선물하기’ 등 교회가 제시한 미션을 달성한다. 물론 감사일기도 쓴다.

정주리(37) 성도는 집안에서 눈에 가장 잘 보이는 곳에 감사 저금통을 두고 감사를 다짐하고 있다고 했다. 정씨는 “내 소유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사실 감사해야 할 것들이라는 걸 깨닫는 순간의 기쁨이 컸다”면서 “감사가 습관이 되면서 공동체와 주변에도 좋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이 또 감사하다”고 말했다.

‘감사 전도사’인 이 장로는 “남과 나의 처지를 비교하지 말고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를 비교하는 습관을 들여 보라”면서 “남과의 비교로 패배자가 되지 말고 나를 돌아보며 감사자가 되면 나와 가족, 공동체가 모두 변할 수 있다”고 당부했다.

시흥 글·사진=장창일 박윤서 기자 jangc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