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이 보유한 주택 5채 중 1채는 서울 강남(서초·강남·송파·강동구)에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다주택자 비율 역시 20%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4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22대 국회의원 부동산재산 분석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이렇게 밝혔다. 지난 3월 공개된 국회의원 재산 신고 내역을 분석한 결과다.
대통령 비서실 등으로 이동해 의원직에 있지 않은 ‘전 국회의원’을 포함한 22대 국회의원 299명 중 유주택자는 234명이며, 이들이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보유한 주택은 총 299채다.
이 중 20.4%에 달하는 61채가 강남4구에 집중됐다.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20명, 국민의힘 36명이 강남4구에 주택을 보유하고 있었다. 개혁신당과 조국혁신당은 각각 1명, 전 국회의원은 3명이었다.
강남 주택을 ‘임대용’으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17명이 강남4구에 소유한 주택을 임대 내준 것으로 조사됐다. 민주당은 20명 중 11명, 국민의힘은 36명 중 4명이 해당 주택에 대한 임대를 신고했으며 전 국회의원 2명도 임대를 했다.
국회의원 중 다주택자는 61명(20.4%)인 것으로 집계됐다.
민주당은 25명으로 같은 당 소속 의원의 15.2%가, 국민의힘은 35명으로 32.7%가 다주택자였다.
국회의원의 부동산 재산 평균은 19억5000만원이었다. 2024년 기준 국민 평균 부동산 재산이 4억2000만원가량인 점을 고려하면 약 4.6배 높은 수준이다.
경실련은 “공직자가 고가·다주택을 보유한 채로 ‘집값 안정’과 ‘투기 억제’를 주장하면 진정성과 실효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경실련은 그러면서 1급 이상 고위공직자를 대상으로 실사용 목적 1주택 외 토지·건물 보유와 매매를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한편 정부가 제대로 된 서민 주거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