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부위원장 “빚투도 레버리지 일종…‘5천피’ 당연 가능”

입력 2025-11-04 10:11 수정 2025-11-04 13:06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뉴시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빚을 내서 주식에 투자하는 ‘빚투’를 두고 “그동안 너무 나쁘게만 봤는데 레버리지의 일종”이라고 4일 말했다.

권 부위원장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적정 수준의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고 리스크를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의 투자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권 부위원장은 “부동산, 예금, 시가총액 높은 10종목의 투자 수익률을 10년간 비교하니 주식시장이 훨씬 나았다”며 “안정적인 배당수익을 주는 가치주 등에 장기 투자를 하는 게 좋고 정부도 이를 위해 제도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는 코스피 시장에 대해 권 부위원장은 “시장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만들겠다는 것이 기본”이라며 “상법 개정 등 주주가치를 보장하는 노력이 국내외에서 일관되게 지지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더 중요한 것은 기업의 실적이 나아가는 좋은 국면에 들어갔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거치면서 불확실성이 상당히 해소된 것이 종합적으로 시장에 반영됐다”고 말했다. 다만 “유동성 장세인 측면도 감안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 부위원장은 향후 코스피 5000포인트 달성도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그는 ‘5000피’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당연히 가능하다”며 “힘차게 우상향하는 대한민국 주가지수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권 부위원장은 주가조작 합동대응단이 조사 중인 ‘패가망신 1·2호’ 등 주가조작 일당을 엄중히 처벌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그는 종합병원·대형학원 원장 등이 벌인 대규모 주가조작 사건에 대해 “원금 1000억원을 몰수할 법적 근거가 있다. 검찰·법원과 협조해 원금까지도 몰수하거나 추징하는 노력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합동대응단은 종합병원, 대형학원 원장 등 ‘슈퍼리치’ 7명이 1000억원을 투입해 400억원의 시세 차익을 낸 주가조작 사건을 적발하고 압수수색에 나선 바 있다. 이 사건에는 금융회사 지점장, 사모펀드 운영자 등 금융 전문가들까지 연루돼 더욱 논란이 됐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