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해법, 현장서 찾는다…고양시 ‘맞춤형 인구정책’ 가동

입력 2025-11-03 16:30
2024년 11월 개최된 ‘제2회 인구정책 포럼’. 고양시 제공

경기 고양시가 저출생 위기 극복을 위해 임신·출산 지원부터 청년 소통 프로그램까지 전 생애 맞춤형 인구정책을 강화한다.

고양시는 ‘2025 고양시 인구정책 시행계획’을 통해 임신·출산·양육 전반을 아우르는 다각적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시민 참여를 기반으로 한 현장 중심 인구정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올해 1~9월 출생아 수는 410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6% 증가하며 저출생 극복의 긍정적 신호를 보였다.

시는 정부의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인구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모든 세대가 함께 행복한 지속가능 고양’을 비전으로 28개 부서에서 133개 세부 사업을 추진 중이며, 임신에서 노년까지 전 생애 돌봄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임신 단계에서는 ▲사전건강관리 ▲난임부부 시술비 ▲생식세포 동결·보존 지원을 실시한다. 특히 난임 시술비는 출산당 최대 25회까지 지원하며, 올해 상반기 기준 3210건의 시술 지원과 610건의 임신 성공 사례를 기록했다.

출산 후에는 ▲첫만남 이용권 ▲출산지원금 ▲무주택 출산가구 전월세 대출이자 지원 등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탄생 축하 쌀 케이크 ▲다복 꾸러미 등 출산 친화 문화를 확산하고 있다.
고양시민 출생축하 아기통장 발급 지원사업 협약식. 고양시 제공

다자녀 가정을 위한 ▲고양다자녀e카드 사업과 유공 표창, ▲미혼 한부모가족 양육비 등 가족친화 정책도 병행 중이다. 전국 최초로 시행된 ‘무주택 출산가구 전월세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은 올해로 4년째를 맞아 누적 4431가구가 혜택을 받았다.

또한 시는 민관 협력을 통한 시민참여형 인구정책에도 힘을 쏟고 있다. ‘출생축하 아기통장’ 사업은 고양동부새마을금고와 협력해 출생아 1인당 10만원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누적 지원금은 약 3억2000만원에 이른다. NH농협고양시지부와 협력한 ‘고양쌀 지원사업’은 둘째 이상 자녀 출산가정 1436곳에 쌀 10㎏을 전달했다.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소통 프로그램 ‘청춘톡톡’도 주목된다. 시는 지난 4월 직원 대상 첫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민간 금융기관과 연계한 네트워킹 행사를 잇따라 열며 주거·결혼·자산 형성 등 청년 세대의 현실적 고민을 공유했다. 내년부터는 시민 참여를 확대해 체감형 청년정책 발굴로 이어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는 인구정책위원회 운영, 공직자·대학 대상 교육, 인구정책 포럼 등을 통해 인구변화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지역 여건에 맞는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전문가와 시민이 함께 논의하는 포럼에서는 청년 주거·보육 인프라 확충 등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실현 방안이 제시됐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급변하는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사회 전반의 역량을 키우고 있다”며 “결혼과 출산, 양육이 행복한 선택이 되고 건강한 노후가 보장될 수 있도록 모든 세대가 더 나은 삶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