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라니 없으니 안전”…‘킥보드 없는 거리’ 확대 찬성 98%

입력 2025-11-03 10:15 수정 2025-11-03 13:18
안전 장비를 착용하지 않은 학생들이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고 있다. 뉴시스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킥보드 없는 거리’를 시범 운영한 결과, 해당 구민의 98%는 향후 킥보드 없는 거리를 확대하는 데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올해 5월부터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1.3㎞)와 서초구 반포 학원가(2.3㎞) 구간을 킥보드 없는 거리(정오~오후 11시)로 시범 운영했다.

시가 시범 운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지난 8월 해당 지역 생활인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8.4%는 향후 보행 밀집 지역이나 안전 취약 지역으로 킥보드 없는 거리를 확대하는 데 찬성했다. ‘킥보드 통행금지로 불편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2.6%에 불과했다.

시행 전후 변화를 묻는 항목(2개 구간 평균)에는 무단 방치 수량 감소(80.4%)가 가장 많았다. 이어 충돌위험 감소(77.2%), 전동킥보드 통행량 감소(76.2%), 보행환경 개선(69.2%) 등이 꼽혔다.

킥보드 없는 거리에서는 전동킥보드, 전동이륜평행차, 전동기 동력만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자전거는 통행할 수 없다. 통행금지를 위반하면 일반도로의 경우 범칙금 3만원과 벌점 15점이 부과된다. 어린이보호구역의 경우 범칙금 6만원과 벌점 30점이 부과된다. 다만 경찰은 현재 계도기간을 운영 중이다.

시는 시민 인식 조사 결과를 포함한 전반적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찰과 단속 및 통행금지 구간 확대 여부 등을 포함한 운영 방향을 검토할 계획이다.

한편 한국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전동킥보드 관련 사고는 2017년 117건에서 2023년 2300여건으로 급증했다. 이로 인한 사망자는 24명, 부상자는 2600여명에 달한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