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새벽배송’ 금지를 둘러싸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과 정면충돌했다.
한 전 대표는 1일 페이스북에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비판여론이 높아지니 민노총이 새벽배송이 아니라 ‘초심야배송’이라는 신조어를 만들고 있다”며 “말장난하지 말라”고 비판했다.
이어 “민노총이 주장하는 ‘0~5시 배송 금지’는 명백히 ‘새벽배송 금지’”라며 “민노총은 0~5시 배송을 새벽배송이라고 말하면 고소·고발하겠다고 하는데, ‘사전’을 고소·고발해야 할 것”이라고 비꼬았다.
김광석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 위원장은 페이스북에 “택배 노동자 과로사 예방을 위한 3차 사회적 합의 기구에 우리 노조가 제안한 안은 ‘초심야 시간 배송(0~5시)을 제한’하자는 것”이라며 “심야배송으로 인한 택배 노동자의 건강 장해는 방지하고 조기 출근 조와 오후 3시 출근 배송 조를 둬 소비자의 편리도 지키자는 안”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이어 “즉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새벽배송 전면 금지’라는 주장을 한 적이 없다”며 “허위 사실을 유포하겠다는 의지를 가진 것으로 보고 법적 조치를 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새벽배송을 둘러싼 논쟁이 심화하면서 범여권 정치인들도 가세하는 분위기다. 박지현 전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페이스북에 “‘돈을 더 벌고 싶어 자발적으로 선택한 것’이라는 주장에는 결정적인 전제가 빠져 있다”며 “사람들은 정말 자유롭게 이 위험한 노동을 선택하는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생계가 막막하거나 당장 한 푼이라도 더 벌어야 하는 이들에게 새벽 노동은 최후의 수단이 되고 있다”며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새벽 중노동은 단순히 근무 시간이 다른 게 아니다”라며 “단기적으로는 돈이 될지언정 장기적으로는 체력과 삶을 갉아먹는 구조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앞서 민주노총 택배노조는 지난달 22일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회의에서 “택배기사 과로 개선을 위해 0~5시 초심야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하자”며 새벽 시간대 배송 제한을 요구했다. 이후 한 전 대표는 같은 달 28일 “노동환경 개선은 계속돼야 하지만 이런 식으로 ‘없애 버리자’고 하면 노동자도 피해를 본다”고 반대했다.
그러자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은 “한 전 대표에게는 장시간 노동과 야간노동이 당연한 상시적 과로 사회에 기본적인 문제의식이 없는지, 시민들의 저녁이 있는 삶을 같이 만들 책임이 없냐”며 “과로하느라 장 볼 시간도 없는 노동자와 야간노동하는 노동자를 왜 갈라치기 하냐”고 따져 물었다.
한 전 대표는 장 전 의원과 3일 CBS라디오 ‘박재홍의 한판 승부’에서 이를 두고 공개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