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해병 특검이 직무유기 혐의를 받는 오동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을 1일 불러 조사하고 있다.
오 처장은 이날 오전 9시24분쯤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오 처장은 혐의를 인정하는지를 묻는 말에 “정상적인 수사 활동 과정의 일”이라고 답했다.
오 처장은 ‘대검 통보를 1년이나 미룬 이유가 무엇인가’ ‘사전에 무죄로 결론 내린 것인가’ 등 질문엔 “조사받으면서 자세히 이야기하겠다”고 말했다.
오 처장은 송창진 전 공수처 부장검사가 채상병 사건과 관련해 국회에서 위증한 혐의로 고발을 당한 사건을 대검찰청에 1년 가까이 통보하지 않고 수사를 지연시킨 혐의(직무유기)를 받고 있다.
송 전 부장검사는 지난해 7월 국회 청문회에서 “해병대 수사외압 건에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가 연루된 사실을 몰랐다”고 말해 위증 혐의로 고발당했다.
특검은 오 처장이 공수처법에 따라 이 사실을 대검찰청에 통보하지 않은 것을 두고 ‘제 식구 감싸기’를 위해 사건을 은폐하려 했는지 들여다보고 있다.
송 전 부장검사는 이른바 ‘친윤 검사’로 거론된다. 2009년엔 대구지검에서, 2011년엔 대검 중앙수사부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함께 근무한 인연이 있다.
그는 2021년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으로 수사를 받던 이종호 전 대표를 변호한 이력이 있는데도 채상병 수사외압 사건에 대한 수사를 착수한 지 약 1년이 지나도록 직무회피 신청을 하지 않아 논란이 됐었다.
특검은 공수처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로부터 지난해 8월 고발장을 접수한 후 며칠 지나지 않아 송 전 부장검사가 무죄라는 취지의 보고서를 작성한 정황도 파악했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박석일 전 공수처 부장검사는 이를 오 처장에게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오 처장에게 송 전 부장검사를 감싸주기 위해 대검 통보를 미룬 것인지, 송 전 부장검사에 대한 수사가 시작되기 전부터 공수처가 사전에 무죄 결론내린 것은 아닌지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을 것으로 관측된다.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구명로비 의혹과 관련해 이 전 대표도 이날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했다.
호송차에서 내린 이 전 대표는 임 전 사단장과 여전히 모르는 사이인지 묻는 말에 “제가 임 전 사단장을 만난 적도 없고 구명로비를 한 적도 없다. 황당한 이야기”라고 답했다.
이 전 대표는 ‘두 사람을 술자리에서 봤다’는 취지의 참고인 진술에 대해선 “그들이 어떤 이유로 허위진술을 했는지는 다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특검은 이 전 대표가 임 전 사단장을 채상병 순직 사건의 혐의자 목록에서 제외되는 과정에서 힘을 썼을 것으로 의심한다.
특검은 지난 8월 측근 A씨와 함께 한강변에서 휴대전화를 파손하려 한 혐의로도 이 전 대표를 입건했다. 이 전 대표는 김건희 특검팀 수사 과정에서 변호사법 위반 혐의가 드러나 구속기소됐다.
이 전 대표는 도이치모터스 2차 주가조작 시기 김건희 여사 계좌를 직접 관리한 인물이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