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디지털 격차, 저출생·고령화 등 각종 사회문제를 적극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머리를 맞댄다.
보건복지부는 31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서울에서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현대차 정몽구재단과 공동으로 ‘제1차 민관 사회공헌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새로운 사회문제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민관 협력 기반을 구축하고, 보건복지 분야에 대한 기업들의 사회공헌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각종 사회문제를 정부 홀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판단 하에 민간기업과 함께 방안을 모색해야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할 것이란 설명이다.
포럼에는 이스란 복지부 1차관, 김성이 한국사회복지협의회장, 최재호 현대차 정몽구 재단 사무총장을 비롯해 한화, 카카오, 포스코 등 기업 사회공헌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복지부는 정책발표에서 국민과 함께 지속가능한 사회공헌 문화를 실현하기 위해 4대 분야 11개 핵심과제를 제시했다.
복지부는 기업 사회공헌의 수요와 공급 매칭을 활성화하기 위해 온라인플랫폼을 신설하고 오프라인 협의체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사회공헌의 분야를 확대하기 위해 기업 임팩트 투자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강화하고 글로벌 사회공헌에도 기업들이 적극 참여하도록 정부가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사회공헌의 주체를 다양화하기 위해 복지부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중소기업의 사회공헌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지원도 강화한다.
아울러 불합리한 법 제도를 개선하고 기업들에 대한 인센티브도 강화하는 한편 사회공헌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사회공헌의 민관 합동 우수사례도 발굴할 방침이다.
복지부는 이재명 대통령이 경기도지사 시절 시행했던 ‘그냥드림’ 사업도 전국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냥드림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생계형 범죄가 늘자 누구에게나 식료품과 마스크 등을 무료로 제공하는 ‘경기 먹거리 그냥드림 코너’에서 시작됐다.
포럼에선 기업의 사회공헌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그간 어떤 방식으로 이뤄졌는지 다양한 사례도 제시됐다.
한국머크는 초저출산 인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원들을 대상으로 가임력 검사 등 가임 지원 복지 제도를 도입해 시행 중이다.
현대차 정몽구 재단은 순직한 경찰관이나 소방관의 자녀들에게 중·고등학교, 대학교 장학금을 지원하고, 국내 최대 규모의 클래식 축제를 통해 지역사회의 활력을 도모했다.
이스란 1차관은 “기후위기, 인구감소 등 새로운 위험이 대두되고 ESG 경영 등 기업의 사회적 의무 수준이 높아진 환경에서 정부와 기업의 긴밀한 협조는 이제 필수적”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기업의 핵심역량을 사회 문제 해결에 보태주고, 정부는 취약하고 어려운 부분을 공유하며 함께 나아가는 등 기업의 사회공헌이 퀀텀점프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