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전국 전월세 거래 65%가 월세…‘전세의 월세화’ 가속

입력 2025-10-31 11:38
26일 서울의 한 부동산 앞에 월세 정보가 부착돼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전국 전월세 거래의 65%를 월세가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규제 강화 등의 영향으로 ‘전세의 월세화’가 뚜렷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9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신고일 기준 지난달 비(非)아파트를 포함한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6만3365건으로 전월 대비 37.0% 증가했다.

수도권(3만1298건)은 전월과 비교해 44.4%, 지방(3만267건)은 30.5% 각각 늘었다. 서울(1만995건) 거래량이 50.8% 늘어난 가운데 강북(5797건)은 47.9%, 강남(5198건)은 54.1% 각각 증가했다. 강남 4구(서초·강남·송파·강동구)는 1909건으로 30.2% 늘었다.

9월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전월 대비 42.4% 증가한 4만9665건으로 집계됐다. 서울(6796건)은 63.6%, 수도권(2만3043건)은 52.4% 각각 증가했다. 6·27 대출규제로 위축됐던 거래가 갈수록 풀리는 모양새로, 서울 성동구, 마포구 등 비규제지역을 중심으로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 수요가 몰린 결과로 풀이된다.

전국 전월세 거래량은 23만745건으로 전월 대비 7.9% 증가했다. 임차 유형을 보면 전세 거래량은 8만75건으로 전월보다 10.3%, 보증부 월세와 반전세 등을 포함한 월세 거래(15만670건)는 6.7% 늘었다. 9월 전월세 거래 중 월세 비중은 65.3%였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전세는 1.9% 줄어든 반면 월세는 38.8% 늘어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1∼9월 누계 기준 월세 비중은 2021년 43.0%에서 2022년 51.8%, 2023년 55.1%, 지난해 57.4%에 이어 올해 62.6%를 기록하며 계속 커지고 있다.

주택 공급지표 중 인허가는 9월 4만6575가구로 전월 대비 171.2% 늘었다.수도권(1만9731가구)은 161.5%, 지방(2만6844가구)은 178.8% 각각 늘며 큰폭으로 증가했다.

착공은 전월과 비교해 83.6% 증가한 2만9936가구로 집계됐다. 수도권(1만6449가구)이 82.5%, 지방(1만3487가구)은 85.0% 늘어 동반 상승했다.

공동주택 분양은 2만2911가구로 전월 대비 37.3% 증가했다. 수도권(1만2437가구)은 19.9% 지방(1만474가구)은 66.0% 각각 공급 물량이 늘었다.

준공은 같은 기간 10.5% 증가한 2만2117가구로, 수도권(8116가구)은 22.4% 줄었으나 지방(1만4001가구)은 46.5% 늘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소폭 감소했다. 9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6762가구로 전월 대비 0.2% 증가했지만 준공 후 미분양(2만7248가구)은 전월보다 1.2% 감소했다.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은 2만2992가구로 전체의 84.4%를 차지했다. 대구가 3669가구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남(3311가구), 경북(2949가구), 부산(2749가구), 전남(2122가구), 경기(2087가구), 제주(1635가구) 등 순이었다.

세종=이누리 기자 nur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