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 최다선인 김기덕 의원(더불어민주당·마포4)은 31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집행부 견제·감사, 예산 심의·확정, 조례 제·개정 등 의회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겠다”며 “지역 발전 예산은 ‘내 재산 마련하듯’ 꼼꼼히 챙겨 시민이 체감할 변화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는 학교 안전, 광역철도망, 폐기물 정책, 생활문화 활성화를 핵심 과제로 제시하며 “원칙과 실용을 함께 보겠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최근 대표 발의한 ‘서울시교육청 학교화재 예방 및 안전에 관한 조례안’을 “교육 현장의 실질적 안전 강화를 위한 종합 대책”이라고 설명했다. 조례안에는 ▲화재 예방·안전계획 수립 ▲표준 안전교육 지침 제정 ▲교직원·학생 교육 강화 ▲명예 학교안전교원 제도 ▲시설 실태조사 ▲소방·유관기관 협력체계 구축 등이 담겼다. 그는 “학교가 가장 안전한 공간이 되도록 제도적 기반을 촘촘히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지역 핵심 현안인 대장홍대선과 관련해 그는 추진 경과와 남은 과제를 차분히 짚었다. 김 의원은 “2010년 ‘홍대입구–성산–DMC–상암–가양–화곡’을 잇는 도시철도 9-1호선 구상을 제안해 2013년 후보 노선으로 반영시켰고, 이후 부천 대장까지 연장돼 광역철도로 발전했다”며 “9월 26일 국토부 민자투자사업 실시설계 승인으로 연내 착공이 가시권에 들어왔다”고 밝혔다. 다만 “최신 기본계획에서 비용 대비 편익(B/C) 문제를 이유로 DMC 환승역이 빠지고 홍대역사 위치 논란이 남아 있다”며 “두 사안을 반드시 보완해야 한다”고 했다.
해법으로는 ‘원인자 부담’ 원칙을 제시했다. 그는 “작년 8월 시정질문에서 서울시장이 DMC 환승역 설치 비용 800억 원 가운데 400억 원을 부담하겠다고 답했다. 재정 분담 원칙에 따라 마포구가 400억 원을 맡되, 현재 인허가 절차가 진행 중인 상암 롯데복합쇼핑몰 측이 200억 원을 분담하면 마포구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환승역이 확정되면 상암역 문제도 자연스럽게 풀릴 것”이라며 “사업자·지자체·서울시가 협력해 합리적 분담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포 자원회수시설(소각장) 추가 건립 문제에 대해서는 형평성과 절차적 정당성을 거듭 강조했다. 김 의원은 “마포는 1978년부터 15년간 난지도에 쓰레기를 매립했고, 2005년부터 하루 750t 규모 소각장을 20년째 가동 중”이라며 “여기에 1000t 규모를 추가하는 결정은 기피시설 배분의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그는 “올해 1월 10일 법원이 입지선정 절차 하자를 인정했는데도 서울시가 곧바로 항소해 주민을 두 번 상처 줬다”며 “항소를 취하하고, 소각장이 있는 4개 구(강남·마포·노원·양천)를 제외한 대안지를 검토하거나 과감한 감량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생활문화 확산도 중요한 의정 목표로 꼽았다. 김 의원은 “문화는 행복의 원천이며 그 기초가 탐방문화”라며 “사단법인 마포탐방문화진흥원이 2006년 창립 이후 유료회원 4700여 명 규모로 성장했다. 국내·해외 정기 탐방과 서울 명소 탐방을 통해 지역 공동체의 자부심을 키우고 있다”고 소개했다. 올해 10월에는 500명이 참여한 새마을호 전세 기차여행으로 변산반도 채석강과 내소사, 곰소항 장보기 등을 즐겼다.
그는 향후 과제로 서북권 문화 인프라 확충을 제시했다. “DMC 영상콤플렉스 같은 숙원을 다시 궤도에 올리고, 대장홍대선 환승 합리성을 회복하며, 학교 안전을 제도화하고, 폐기물 정책을 미래지향적으로 전환해 시민이 체감할 변화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김 의원은 “의회 본연의 책무에 충실하면서 지역민의 실익을 세밀하게 챙기겠다”며 “서북권 교통·환경·문화의 균형 발전을 반드시 이루겠다”고 말했다.
이은철 기자 dldms878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