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본회의 불참 트럼프…“시진핑에 관심 집중 기회”

입력 2025-10-31 10:4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부산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 내 나래마루에서 미중 정상회담을 마친 뒤 회담장을 나서며 대화하고 있다.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본회의에 참석하지 않고 일찍 귀국한 것에 대해 미국 언론이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AP통신은 3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APEC 본회의 불참 결정은 그동안 알려진 트럼프의 다자외교 ‘경멸’과 잘 맞아떨어지는 행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통적으로 세계적 난제를 해결해온 대형 다자포럼보다는 대규모 거래나 화젯거리가 될 수 있는 일대일 외교를 선호해왔다고 AP는 전했다.

세계 인구의 약 40%, 전 세계 상품 교역의 절반 이상을 대표하는 APEC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행보는 미국에 대한 평판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고 AP는 우려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부산 김해공항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100여 분간 미·중 정상회담을 마친 뒤 APEC 정상회의 본회의에는 참석하지 않고 곧바로 귀국행에 올랐다. 순방을 마친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직원 자녀들과 함께하는 핼러윈 행사를 즐겼다.

세계 무대에서의 평판보다 우려스러운 것은 중국이 APEC에서 거둘 외교적 성과를 고려했을 때라고 AP는 강조했다. 참석 자체가 중요한 아시아 외교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APEC 일정이 끝날 때까지 한국에 머문다. AP는 트럼프 부재 속에서 외교적 성과를 거두려는 계산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워 상대국을 압박해 양자 회담에서 성과를 내는 반면, 다자주의 등 전후체제를 경시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다음 달 22~23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불참할 계획이라고 이미 선언한 바 있다.

이런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특성을 고려해도 이번 APEC 본회의 불참은 참석 자체를 중시하는 아시아 문화의 특수성을 간과한 외교적 결례라는 측면에서 큰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마이클 그린 호주 시드니대 미국학 연구소 소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체계적이고 일관된 전략에 스스로를 묶어두길 원하지 않는 듯하다”고 지적했다.

또 고명현 국가안보전략연구위원은 “트럼프식 개인 외교가 미국의 영향력과 리더십을 약화시킬지는 더 두고 봐야 한다”면서도 “과거 세계가 이상적 국제주의와 연관 지었던 미국의 이미지에 비해 약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AP는 트럼프 대통령의 부재가 미국을 ‘'일방주의' 비판해온 시 주석에게 관심을 집중시키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