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내년 예산안 51.5조원…약자 동행에 15.6조, 한강버스는 2배로

입력 2025-10-30 17:44 수정 2025-10-30 17:50
오세훈 서울시장이 30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2026년 서울시 예산안 기자설명회를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내년 예산안으로 총 51조5060억원을 편성했다. 올해(48조1145억원)보다 7.0%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서울시는 이 중 약 3분의 1을 시정 핵심인 ‘약자와의 동행’ 사업에 투입하기로 했다. 한강버스 운영 활성화를 위한 예산도 2배 늘렸다.

서울시는 30일 이 같은 내용의 2026년 예산안을 오는 31일 서울시의회에 제출한다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약자와의 동행, 매력 도시로서 경제력 증대, 부동산 안정이 중요하다”며 “내년도 예산은 ‘동행·안전·매력’ 등 3대 중점 분야에 기반을 두고 편성했다”고 전했다.

먼저 서울시는 약자와의 동행 사업에 15조6256억원을 배정했다. 올해보다 8601억원(5.8%) 늘어난 금액으로 전체 예산의 32.4%를 차지한다.

세부적으로 4대 급여 지원에 4조7645억원을 배정해 기초생활보장을 확대하고, ‘돌봄SOS’에 361억원을 투입해 촘촘한 복지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저렴한 비용의 ‘서울형 안심조리원’도 신규 추진(28억원)한다. 다자녀 추가지원도 확대(689억원)한다.

이밖에 서울런 3.0(236억원), 소상공인 종합지원(311억원) 및 신규 융자 확대(487억원), 장애인 공공일자리 5500개 운영(589억원) 등도 추진한다.

부동산 공급을 늘려 안정적인 주거환경 조성에도 집중한다. 취약계층·청년·신혼부부 등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2만4000가구를 공급하는 등 주거 부문에 1조622억원을 편성했다. 서울형 주택진흥기금(1919억원)도 신설된다.

오 시장은 “10·15 대책은 공급 촉진과는 거리가 있다. 시민들 입장에선 집을 살 수도, 전세를 구하기도 어려워 결국 더 비싼 월세로 내몰리는 상황”이라며 “시민 불안을 덜기 위해 내년도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공급 확대’와 ‘부동산 시장 안정화’에 둘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주택공급 촉진을 위해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에 적용되는 임대주택 의무 공급 비율을 낮추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할 것”이라고도 했다.

시민들 일상을 위한 안전 예산에는 4조3663억원을 배정했다. 노후 상·하수관로 정비(4477억원), 지하철 노후시설 교체(923억원) 등 ‘안전인프라 확충’에 2조2740억원이, ‘대중교통 편의성 강화’에 2조932억원이 투입된다.

매력 부문에서는 한강버스 관련 예산이 눈에 띤다. 서울시는 한강 수상교통 운영 예산을 올해(67억6400만원)보다 배로 늘려 131억7500만원을 배정했다. 한강 경관 개선 예산은 5억8600만원에서 64억1000만원으로 대폭 늘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