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을 잃은 배우가 바라보는 세계로의 여정

입력 2025-10-30 05:00
칠레의 공연창작단체 콜렉티보 쿠에르포 수르의 ‘라스트 호프’. (c)Dawid Ścigalski

사람은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등 오감을 통해 세상을 경험하고 이해한다. 오감 가운데 가장 큰 영역을 차지하는 것은 시각이다. 외부 정보의 70~80%를 시각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시각을 상실한 사람이 세상을 감각하는 방식을 이야기하는 특별한 공연이 찾아온다. 바로 11월 14~16일 서울 충정로 모두예술극장에서 선보이는 ‘라스트 호프’(Last Hope)다.

‘라스트 호프’는 칠레의 공연창작단체 콜렉티보 쿠에르포 수르(Colectivo Cuerpo Sur)가 지난해 7월 초연한 연극이다. 단체의 대표이기도 한 배우 에바나 가린과 1%의 시력밖에 남지 않은 네덜란드 출신 아마추어 배우 힐다 스닙페가 함께 무대에 올라 이미지로 가득 찬 세상에서 보는 것보다 느끼는 것의 중요성을 탐구한다.

이 연극은 스닙페가 오랫동안 소망했던 안데스산맥 설원 여행을 촉각 등 감각이 충만한 체험으로 펼쳐 보이는 것이 핵심이다. 두 배우의 대화가 진행됨에 따라 ‘보는 곳’을 넘어 ‘느끼는 곳’으로 변하는 무대는 관객에게 시각 중심주의에 질문을 던진다. 시각 중심주의는 현대 사회가 다른 감각보다 시각을 우세하게 여기고, 이로 인해 나머지 감각들이 점차 빈곤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 연극은 관객에게 감각의 다중성과 기억의 층위를 깨닫게 한다. 나아가 비규범적인 접근 방식으로 세상을 인식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인식의 개념을 확장한다.

칠레의 공연창작단체 콜렉티보 쿠에르포 수르의 ‘라스트 호프’. (c)Dawid Ścigalski

2019년 창단된 콜렉티보 쿠에르포 수르는 기억·정체성·영토 등 사회적 주제를 예술적으로 풀어내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대표인 가린은 칠레와 네덜란드를 오가며 작업하고 있다. 이번 작품은 네덜란드 도시 레이우아르던의 시청에 소속된 장애인 접근성 실무그룹과의 만남을 계기로 만들어졌다. 스닙페는 이 실무그룹의 의장을 맡고 있다. 스닙페와의 소통을 토대로 콜렉티보 쿠에르포 수르는 보는 것과 보지 못하는 것 사이의 간극을 탐구하며 시각 중심주의를 성찰할 수 있는 ‘라스트 호프’를 만들게 됐다.

이번 공연을 초청한 모두예술극장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재)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구세군빌딩 아트홀을 전면 개보수해 2023년 10월 국내 최초 장애예술 표준공연장으로 개관한 공간이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