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과학자들이 햄과 베이컨 등 가공육에 쓰이는 보존제 ‘아질산염’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며 가공육 제품에 대장암 위험 경고문을 의무적으로 표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 내 보건 전문가와 과학자들은 ‘아질산염 반대 연합’을 결성하고 최근 웨스 스트리팅 영국 보건사회부 장관에게 공동 서한을 보냈다.
이들은 “현재 영국에서 판매되는 베이컨과 햄의 90~95%에 아질산염이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들 제품에 담배 포장지처럼 발암 경고문을 붙이고, 향후 몇 년 안에 아질산염을 사용하는 가공육 생산을 단계적으로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세계보건기구(WHO)의 경고 이후에도 영국 정부가 아질산염 사용을 제한하지 않아 지난 10년 간 영국인 5만4000명이 대장암에 걸렸고, 영국 국민건강보험은 이를 치료하기 위해 약 30억 파운드(약 5조7500억원)를 지출했다”고 주장했다.
아질산염은 고기를 오래 보존하고 햄이나 베이컨이 지닌 특유의 분홍빛을 유지하게 하는 물질이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2015년 10월 아질산염이 들어간 가공육을 ‘1군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담배나 석면과 같은 등급의 발암 위험을 지닌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당시 IARC는 10개 이상의 연구 데이터를 종합해 “가공육을 하루 50g 섭취할 때마다 대장암 위험이 18% 증가한다”고 경고했다.
영국 식품 안전 자문을 맡았던 크리스 엘리엇 교수는 “아질산염은 체내에서 니트로사민이라는 강력한 발암 물질로 전환된다”고 설명했다.
데니스 코르페 프랑스 툴루즈대 식품 안전·영양 학과 명예교수는 “소비자는 명확한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가 있다”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WHO가 가공육을 담배나 석면과 같은 발암 물질로 분류했다는 사실을 모른다”고 지적했다.
반면 영국 보건사회복지부는 “식품기준청(FSA)이 질산염이나 아질산염이 암 발병과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다고 결론짓지는 않았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