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미사일총국이 지난 28일 서해상에서 해상 대 지상(함대지) 전략순항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 다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고 싶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언급에 대해서는 응답하지 않았다.
조선중앙통신은 29일 “함상 발사용으로 개량된 순항미사일들은 수직 발사돼 서해상 상공의 설정된 궤도를 따라 7800여초간 비행해 표적을 소멸했다”고 밝혔다. 순항미사일은 2시간10분 비행했으나 북한은 비행거리 등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이날 시험발사는 김 국무위원장이 참관하지 않은 데다 북한 주민이 접할 수 있는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나 라디오 방송인 조선중앙방송 등 대내용 매체에는 실리지 않아 수위를 조절한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시험발사를 참관한 박정천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은 “전쟁 억제수단들의 적용 공간을 부단히 확대해나갈 데 대한 당 중앙의 전략적 기도대로 우리 핵 무력을 실용화하는 데서 중요한 성과들이 이룩되고 있다”며 “각이한 전략적 공격수단들의 신뢰성과 믿음성을 지속적으로 시험하고 그 능력을 적수들에게 인식시키는 것 그 자체가 전쟁 억제력 행사의 연장이자 보다 책임적인 행사로 된다”고 했다.
박 부위원장은 또 “국가수반은 이미 강력한 공격력으로써 담보되는 억제력이 가장 완성된 전쟁 억제력이고 방위력이라고 정의하였다”며 “우리는 자기의 전투력을 끊임없이 갱신해나가야 하며, 특히 핵전투 태세를 부단히 벼리는 것은 우리의 책임적인 사명이고 본분”이라고 강조했다.
통신에 따르면 박 부위원장은 5000t급 신형 구축함 ‘최현’호와 ‘강건’호 해병들의 함 운용 훈련 및 무기체계 강습실태를 요해(파악)하고 해병들의 군사 실무적 자질을 보다 높여주기 위한 해당한 과업들을 포치(지도)했다.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이날 방한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 국무위원장과의 만남 의사를 잇달아 표현하는 가운데 이에 대해서는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은 채 순항미사일을 시험발사한 북한의 향후 태도가 주목된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