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세종 ‘국가상징구역’, 대한민국 시대정신 담아야”

입력 2025-10-28 16:50
28일 서울 켄싱턴호텔에서 개최된 ‘세종 국가상징구역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제공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을 시민들의 자유로운 소통 공간으로 만들고, 그 중심에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이 있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시됐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28일 서울 켄싱턴호텔에서 ‘세종 국가상징구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강준현·김종민·박수현·황운하 국회의원실과 공동 개최한 이날 토론회는 대통령 세종집무실 및 국회 세종의사당이 들어설 국가상징구역에 어떤 철학을 담아내야 하는지를 다뤘다. 도시·건축·역사·조경 등 분야별 전문가들은 국가상징구역의 비전과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1부 발제에서 황재훈 충북대 교수는 ‘국가상징구역의 가치와 비전’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황 교수는 “세종은 행정중심복합도시를 넘어 국가 중추기능이 집약된 행정수도로 발전하고 있다”며 “국가상징구역을 시민들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수평적·개방적 공간으로 조성하고,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을 국민 소통의 중심 공간으로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석재 이화여대 교수는 ‘대한민국의 정체성, 역사 공공성으로 정의하기’라는 주제 로 국가를 상징하는 건축이 갖춰야 할 핵심 개념을 설명했다.

그는 “먼저 국가의 정체성을 분명히 규정하고, 이를 담아낼 매체로 건축과 공간을 선택해야 한다. 그 안에 역사성과 공공성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며 “지금의 시대정신과 자랑스러운 역사·전통, 미래 세대에 전할 가치가 함께 담길 때 진정한 국가상징공간이 완성된다”고 조언했다.

2부에서는 발제자를 비롯해 김도년 성균관대 교수(도시), 송하엽 중앙대 교수(건축), 우동선 한국건축역사학회 회장(역사), 박윤진 오피스박김 대표(조경) 등 분야별 전문가들이 심층 토론을 이어갔다.

김 교수는 국가상징구역을 민주주의와 국가 비전을 체험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만들고, 인공지능(AI)·스마트도시·스마트모빌리티 등 첨단 기술을 도시의 비전과 융합한 국제 선도지구로 발전시킬 것을 제안했다.

송 교수는 국가상징구역이 과거·미래가 공존하고 국민과 교감하는 상징적 장소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우 회장은 우리나라의 역사와 현실을 담아내면서도 눈에 보이지 않는 다양한 가치까지 상징적으로 보여주도록 설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 대표는 산수 개념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환경을 만들고 시민들이 참여하는 민주적 공간으로 구성해야 한다고 했다.

국가상징구역 마스터플랜 국제공모 접수는 다음달 20일까지 진행된다. 당선작은 국민 참여 투표와 전문가 심사를 거쳐 12월 중순쯤 발표할 예정이다.

강주엽 행복청장은 “토론회에서 제시된 다양한 의견을 적극 반영해 우리나라의 정체성과 비전이 담긴 상징공간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세종=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