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는 성경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입력 2025-10-28 14:30 수정 2025-10-28 14:51

효과적인 성경 보급과 선교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 방대한 규모의 설문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세계복음주의연맹(WEA) 서울총회 둘째 날인 28일 오전 ‘파트모스 이니셔티브’가 ‘파트모스 세계 성경 인식 태도 설문조사’에 대한 보고회를 진행했다. 파트모스 이니셔티브는 영국성서공회와 세계성서공회연합이 주도해 전 세계 사람들이 성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읽는지를 연구하기 위한 글로벌 운동이다.

갤럽에 의뢰해 진행한 조사는 2023~2024년까지 150개국 9만10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갤럽은 조사 대상국 데이터를 분석해 사회·종교적으로 유사한 그룹을 만든 뒤 국가와 응답자를 단계별로 추출하는 다단계 층화 군집 표집(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sampling)을 통해 설문 대상을 확정했다. 이후 대면·전화 인터뷰와 온라인 패널 조사를 혼합해 조사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 중 81%는 ‘신이나 초월적 존재를 믿는다’고 답했고 69%는 종교가 일상 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응답했다. 성경에 대해 더 배우고 싶다고 답한 사람은 조사 대상 중 35%를 차지했고 이중 2억4000만명은 비기독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된 성경을 가지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37%에 그쳐 성경 번역과 보급이 시급한 과제인 것으로 확인됐다.


파트모스 이니셔티브는 사회·종교적 특성을 기준으로 전세계를 ‘7개 클러스터’로 분류했다.

클러스터1(아프리카 사하라 일대)은 이슬람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지역으로 기독교인 인구가 10% 수준인 지역이다. 클러스터2(남동부 유럽)는 기독교가 우세한 지역으로 성경에 대해 배우려는 이들이 57%에 달하는 곳이다. 클러스터3(북아프리카·중동)은 이슬람교가 우세하지만 소수의 안정적인 기독교 공동체가 존재하는 곳이다. 클러스터4(라틴 아메리카)는 기독교가 우세한 지역으로 85%가 자신을 기독교인이라고 답한 지역이다. 클러스터5(호주·뉴질랜드)는 경제 발전을 이룬 오랜 기독교 국가들이 있는 곳이지만 기독교 정체성이 약화된 지역이다. 클러스터6(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은 높은 종교적 다양성이 있으면서 성경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답한 비율이 56%로 가장 높게 나타난 곳이다. 클러스터7(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은 종교가 일상 생활에서 중요한 부분(91%)이라고 여기지만 47%가 기독교를 서양 종교로 보는 배타적 인식이 있는 지역이다.

클러스터별 응답 결과는 향후 선교 전략 수립에 좋은 표본이 될 전망이다.

클러스터1·3의 응답자 87%는 ‘삶의 의미를 신앙에서 찾는다’고 했고 79%는 ‘생각이 다른 사람에게서 배우는 것을 즐긴다’고 답해 종교성이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기독교 전통이 강한 국가가 포함된 클러스터2·5에서는 ‘종교가 일상에서 중요하다’고 답한 비율이 40%에 그쳤다. 다만 절반 이상(53%)가 여전히 자신을 기독교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62%는 ‘초월적 존재가 있다고 믿는다’고 답했다. 파트모스 이니셔티브는 “무신론으로의 전환보다는 ‘신앙의 개인화’가 진행 중”이라고 평가했다.

클러스터4에서는 85%가 스스로를 기독교인이라고 응답했고 로마가톨릭 전통이 강하지만 최근 복음주의 확산세가 뚜렸해 파트모스 이니셔티브가 ‘복음의 활력지대’로 규정한 지역이다.

클러스터6은 ‘성경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답한 응답자가 56%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성경에 대한 접근과 학습 의향이 있다’고 답한 비율도 6%에 그쳤다.

클러스터7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싱앙 열정을 보인 곳으로 91%가 ‘종교가 일상생활에서 중요하다”고 했고 76%는 ‘성경을 더 배우고 싶다’고 답했다. 더불어 85%의 응답자는 ‘아이들이 성경 이야기를 아는 게 좋다’고 했지만 47%가 ‘기독교는 서양 종교’라는 인식이 커 식민지대 문화적 잔재가 여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조사는 ‘세속화와 부흥’이라는 두 가지 흐름이 전세계를 관통한다는 걸 보여준다.

폴 윌리엄스 영국성서공회 대표는 “성경 보급과 선교 전략 수립을 위한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조사”라면서 “여전히 성경 보급 사역과 선교가 얼마나 중요한 걸 확인했다는 게 큰 의미”라고 밝혔다. 파트모스 이니셔티브의 조사결과는 WEA 서울총회 기간 중 한국어와 영어, 프랑스어, 포루투갈어로 번역해 배포했다.

치콘디 믈롬브와 ‘성장을 통한 번영’ 설립자도 “이번 조사로 일부 지역에서 성경을 제국주의 산물로 보는 현실도 확인했고 여전히 각 언어로 된 성경이 필요하다는 것도 드러났다”면서 “지속적인 성경 보급이 결국 소외된 이들의 삶과 세계를 바꿀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장창일 기자 jangc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