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사칭에 시장 직인까지 위조… 부산시청 공문 납품사기 시도

입력 2025-10-27 15:36 수정 2025-10-27 17:10
부산시청을 사칭한 인물이 기업에 보낸 위조 공문. ‘2025년 상반기 시청 내 관찰실 보수 및 철공 공사 예정’이라는 문구와 함께 시장 명의·직인이 포함돼 실제 공문처럼 꾸며졌다.

부산시청 공무원을 사칭해 기업에 납품을 요청하는 전화사기 시도가 발생했다. 부산시는 위조 공문을 확인한 뒤 즉시 경찰에 신고했고, 경찰은 스미싱(문자 피싱) 범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수사에 나섰다.

27일 국민일보 취재에 따르면 지난 24일부터 부산시청에 시 공무원을 사칭한 납품 요청 관련 문의 전화가 잇따르고 있다. 한 유리공사업체에는 시청 직원을 사칭한 인물이 전화를 걸어와 “시청 내 관찰실 보수 및 철공 공사를 긴급히 진행할 예정”이라며 납품을 제안했다. 이 인물은 부산시 명의의 공문과 명함 사진을 문자메시지로 보내 신뢰를 유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문서에는 ‘2025년 상반기 시청 내 관찰실 보수 및 철공 공사 예정’이라는 문구와 함께 집행금액 26만4000원, 예산 잔액 1억8854만120원 등 구체적인 수치가 적혀 있었다. 다만 이 금액이 실제 피해로 이어졌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실제 부산시 내부 공문서 양식과는 전혀 다른 형태였지만, 서류 상단에는 부산시 마크가, 하단에는 시장 이름과 부서 담당자 직함, 시청 직인이 찍혀 있어 일반인 입장에서는 실제 공문과 거의 구별이 어려웠다.

부산시청을 사칭한 인물이 기업에 보낸 위조 공문. ‘2025년 상반기 시청 내 관찰실 보수 및 철공 공사 예정’이라는 문구와 함께 시장 명의·직인이 포함돼 실제 공문처럼 꾸며졌다.

업체는 예산 집행 전 확인 절차를 위해 시청에 문의했고, ‘관찰실’이라는 시설이나 관련 공사 계획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해 사기 시도임을 파악했다. 시는 즉시 112에 신고했으며, 이날 연일지구대가 사건을 접수해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해당 문서가 실제 기관 정보 일부를 모방한 전형적인 스미싱(문자 피싱) 수법으로 보인다”며 “서류 제작·전송 경로를 추적 중이며 해외에서 조직적으로 제작됐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시청 공무원이 직접 업체에 연락해 거래를 요청하거나 선입금을 요구하는 일은 절대 없다”며 “공공기관 명의로 공문이나 명함이 전달될 경우 반드시 시청 대표번호를 통해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시는 이번 사례를 전 부서와 산하 기관에 공유하고, 공문 위조 및 기관 사칭 피해 예방을 위한 내부 주의 공문을 발송할 예정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