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기념공원 경관지구 완화 ‘조건부 합의’… 부산시, 도시재생 속도낸다

입력 2025-10-27 15:01
성희엽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이 지난 23일 웨스틴조선 부산에서 열린 재한유엔기념공원국제관리위원회(CUNMCK) 정기총회에서 ‘유엔기념공원 주변 경관지구 관리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지난 23일 웨스틴조선 부산에서 열린 재한유엔기념공원국제관리위원회(CUNMCK) 정기총회에서 ‘유엔기념공원 주변 경관지구 관리 방안’에 대한 조건부 동의를 끌어냈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부산시와 유엔기념공원 관리처, 국제관리위원회 소속 11개국 대사 등 대표들이 참석했으며, 성희엽 미래혁신부시장이 직접 현장 설명과 제안 발표를 진행했다. 일부 위원은 규제 완화 이후 개발로 인한 경건성 훼손을 우려했지만, 시는 건축물의 높이·규모·용도 등을 체계적으로 제한하는 지구단위계획 수립 방안을 제시하며 설득에 나섰다.

성희엽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이 재한유엔기념공원국제관리위원회(CUNMCK) 정기총회 참석자들과 함께 유엔기념공원 일대를 둘러보며 경관지구 관리방안에 대해 현장 설명을 하고 있다. /부산시 제공

국제관리위원회는 시가 제안한 관리 방안에 대해 ▲지형 여건에 따른 구역별 건축물 높이 제한 ▲외관·용도 규제 강화 ▲세부 계획 단계에서 국제관리위원회와의 지속 협의 조건을 전제로 동의했다. 이로써 시는 유엔기념공원의 존엄성과 상징성을 유지하면서도 주변 지역의 도시 기능 회복과 주거환경 개선을 병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유일의 유엔 공식 묘지로,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유엔군 장병 2333명이 안장돼 있다. 1959년 체결된 한·유엔 협약에 따라 농업·주거 등 묘지의 존엄성을 훼손하지 않는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1971년부터 경관지구로 지정돼 관리됐다. 이에 따라 경관지구 변경이나 완화를 위해서는 국제관리위원회의 합의가 필요하다.

시는 2021년부터 유엔기념공원 주변 지역 정비와 경관지구 조정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으며, 지난해 말부터는 시와 남구청이 직접 협의 과정에 참여해 실무 논의를 주도했다. 그 결과 이번 총회에서 조건부 동의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시는 이번 합의를 토대로 경관지구 완화와 함께 도시재생 차원의 관리 방안을 병행해 세계유산의 가치와 시민 삶의 품격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계획을 추진할 계획이다. 남구청은 내년 상반기 도시관리계획 입안 용역에 착수한 데 이어 하반기부터 시가 결정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박형준 시장은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평화의 상징이며, 이번 합의는 존엄성을 지키면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도시재생을 실현하는 중요한 계기”라며 “국제관리위원회와의 합의를 성실히 이행해 세계유산의 가치와 주거 환경 개선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