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한·미 무역협상의 최대 쟁점인 3500억 달러(약 500조원) 규모 대미 투자 패키지의 주요 내용에 대한 양국 간 논의가 아직 교착상태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공개된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투자 방식, 투자 금액, 시간표, 우리가 어떻게 손실을 공유하고 배당을 나눌지 이 모든 게 여전히 쟁점”이라고 말했다.
현재 양국은 지난 7월 큰 틀에서 무역 합의를 마쳤다. 한국이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 패키지를 구성하는 게 핵심이었다. 그러나 그 구성과 이행 방안 등을 두고 양국이 접점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오는 29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의 무역 합의 발표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미국은 물론 자국 이익을 극대화하려고 하겠지만 그게 한국에 파멸적인 결과를 초래할 정도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화가 계속되고 있으며 생각에 일부 차이가 있지만 (타결) 지연이 꼭 실패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한국은 미국의 동맹이자 우방이기 때문에 우리는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합리적인 결과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으며 그렇게 해야만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의 이번 인터뷰는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 방미 협의(현지시간 22일·한국시간 23일)를 진행한 다음 날인 24일 이뤄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아시아 순방길에 오르며 전용기 안에서 진행한 약식 회견에서 ‘이번 방문에서 한국과 관세협상을 마무리할 것으로 기대하느냐’는 질문에 “타결(being finalized)에 매우 가깝다”고 밝혔는데 이런 발언과 이 대통령의 언급은 온도 차가 확연하다.
이 대통령은 또 지난 9월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일어난 한국인 노동자 구금사태에 대해 “노동자들에게 심각한 트라우마를 일으켰으며 난 일부 노동자가 (미국으로) 돌아가기 싫어한다고 들었다”고 전했다. 이어 “이런 노동자들을 위한 안전과 합리적인 대우를 보장할 조치가 이뤄지지 않으면 미국 내 공장 건설이 매우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양국이 유사 사태를 막기 위해 논의 중인 비자 체계 개선에 대해 “머지않은 미래에 해법을 찾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답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