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임차인의 전세사기 피해 예방을 위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위험 분석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임차인이 집주인과 주택의 위험 요인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
서울시는 23일 이 같은 내용의 ‘전세사기 위험 분석 보고서’ 서비스를 오는 24일부터 개시한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시는 AI를 활용해 기존에 전세사기에 가담했던 임대인 약 1500명의 빅데이터를 분석했다. 여기서 일반 임대인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11가지 위험 신호를 도출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전세사기 가담 임대인의 전세 계약 시점 평균 신용 점수는 591점으로 일반 임대인(908점)보다 300점 이상 낮았다. 신용 불량자 비율도 4명 중 1명(약 27%)에 달했다.
보유 주택 수에서도 차이가 명확했다. 사기 임대인의 25%가 4채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였다. 일반 임대인은 4채 이상 보유 사례가 거의 없었다.
이 밖에 세금 체납 등 ‘공공정보 보유율’ 역시 사기 임대인이 26%로 일반 임대인(0.7%) 대비 압도적으로 높았다. 최근 3년 내 휴대전화 번호와 주소 변경 빈도도 일반 임대인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서울시는 이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집주인 정보 11개 항목에 주택 정보 13개 항목을 결합해 전세사기 위험 분석 보고서를 구성했다. 다만 집주인 정보는 본인의 신용정보 제공 동의가 있을 때만 확인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전세사기 위험 분석 보고서는 ‘서울주거포털’ 또는 ‘청년몽땅정보통’의 전세사기 위험분석 배너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민간 리스크 분석 플랫폼 ‘내집스캔’에서 쿠폰을 발급받으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는 임대차계약 예정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해당 쿠폰을 발급할 예정이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전세사기 위험 분석 보고서는 계약 전 위험요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해 피해를 예방하는 안전장치”라며 “전세사기 피해 예방과 임차인 권리 보호를 위해 행정서비스를 강화하고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