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국내 최대 규모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시와 KAIST는 23일 대전 KAIST 본원에서 ‘개방형 양자팹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양자팹 건립 및 양자 인프라 시설·장비 구축을 위해 추진된다. 2031년까지 국비 234억원, 시비 200억원, KAIST 17억원 등 총 451억 원이 투입된다.
시와 KAIST는 향후 양자 전용 공정에 필요한 필수적인 장비를 구비하고 사용자 중심의 개방형 운영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시설은 KAIST 본원 미래융합소자동 일대에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2500㎡ 규모로 지어지며 2027년 준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한다. 준공 이후에는 KAIST가 운영을 맡는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양자과학기술은 미래 기술 패권을 좌우할 핵심 전략 분야”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산·학·연·관이 협력해 대한민국 양자 생태계의 경쟁력 기반을 확립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은 대전이 대한민국 양자산업의 중심으로 도약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산·학·연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를 조성하고, 양자 기술을 통한 미래 산업 선점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