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재난 된 자살 막아라…대구시-지역사회 공조

입력 2025-10-23 11:01
국민 AI 이미지

대구시가 사회적 재난이 된 극단적 선택(자살)을 줄이기 위해 지역사회와 힘을 모으기로 했다. 고위험군 발굴 인프라를 확대해 사회 안전망을 강화할 계획이다.

시는 최근 대구시의사회, 대구시약사회, 대구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와 ‘대구시 정신건강증진 및 자살예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협약 주체들은 대구시민 정신건강증진과 자살예방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지역사회 정신건강·자살 고위험군 발굴과 서비스 연계, 생명지킴이 홍보에 필요한 지원과 생명지킴이 활동 참여, 정신건강·자살예방을 위한 상호 요청 협력 등에 힘을 모을 방침이다. 각 단체는 전문성을 발휘해 고위험군을 적극적으로 찾고 이들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시는 지난달 정신건강·자살예방 대책마련 정책간담회를 열어 지역 관련 기관들과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시와 간담회에 참여한 대구경찰청, 대구소방안전본부, 신용보증재단 등은 자살 예방에 지역공동체의 역할이 크다는 것에 뜻을 같이 하고 ‘생명지킴이’ 활동에 함께 나서기로 했다.

시가 자살 예방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은 대구도 자살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0만명당 자살자 전국 평균은 29.1명이다. 대구는 남구 37.3명, 서구 36.2명, 중구 34.5명, 달성군 33.2명, 북구 31.1명, 달서구 29.6명, 수성구 23.8명, 동구 23.7명, 군위군 22.1명으로 9개 시·군 중 6개 시·군이 전국 평균보다 자살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지역 숙박업소들과도 자살 고위험군 조기 발굴을 위해 손을 잡았다. 숙박업소 30여곳에 자살 예방 안내문과 홍보 물품을 비치했다. 고위험군 발견 시 전문기관 연계도 지원할 방침이다. 또 숙박업 경영자를 대상으로 자살 예방 교육을 확대해 민관 협력 기반의 안전망을 강화할 계획이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행정부시장)은 “정신건강 문제는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일반적인 문제로 지역공동체와 함께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굴해 도움을 주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대구시민 모두 나를 지키고 주변을 지키는 생명지킴이 역할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