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부사관 충원율이 최근 5년 새 큰 폭으로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군 초급간부의 열악한 처우가 문제로 지목된다.
22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황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군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육군 부사관 충원율은 2020년 95%에서 지난해 42%로 53% 포인트 급감했다. 전군 최저치다.
지난해 육군 부사관 선발정원은 8100명이었으나 실제로는 3400명만 충원돼 선발 정원 대비 절반도 채우지 못했다. 같은 기간 해군 부사관은 90%에서 55%로, 공군 부사관은 100%에서 69%로, 해병대 부사관은 98%에서 76%로 각각 떨어졌다.
숙련된 간부 이탈도 늘고 있다. 최근 5년간 전역한 중·장기복무 제대군인은 2020년 6877명에서 지난해 9523명으로 38.5% 증가했다. 정년이나 명예전역 등 기타 전역 사유를 제외한 ‘희망전역’ 신청자는 2020년 3154명에서 꾸준히 늘어 지난해 5506명에 달했다.
특히 육군 부사관 희망전역자는 2020년 1147명에서 지난해 2480명으로, 해군 부사관은 228명에서 615명으로 각각 배 이상 증가했다.
황 의원은 “병력 감축으로 병사 충원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군 간부 체계마저 흔들리면 군의 전투력과 지휘체계 유지에 심각한 공백이 생길 수 있다”며 “처우 및 복무환경 개선, 진급 구조 합리화 등 간부 인력관리 체계를 전면 재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