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서 뭇매 맞은 통신3사 CEO… KT “해킹 피해자 위약금 면제”

입력 2025-10-21 19:16 수정 2025-10-21 19:18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산하기관 국정감사에서 김영섭 KT 대표이사 등 해킹사태 관련 기업 대표들이 출석해 증인석에 앉아 있다. 연합뉴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연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산하기관 국정감사에서 이동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 경영진이 연속적인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의원들의 집중포화를 맞았다.

통신 3사 대표이사인 유영상(SK텔레콤)·김영섭(KT)·홍범식(LG유플러스) 최고경영자(CEO)는 21일 국정감사 증인으로 나란히 출석해 해킹 사태에 대해 위원들의 질의에 응답했다.

지난 4월 해킹 사실이 알려지며 가장 먼저 여론의 뭇매를 맞은 SK텔레콤은 다른 두 회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대처를 했다는 평가를 받으면 상대적으로 낮은 수위의 비판 대상이 됐다.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이 유 대표에게 “통신 3사가 다 털렸는데 제일 먼저 자진 신고해 제일 많이 두들겨 맞았다. 왜 빨리 신고했느냐”고 묻자, 유 대표는 “법적으로 그렇게 해야 한다고 알고 있었다”고 답했다. “다른 회사들은 왜 안 했다고 생각하느냐”는 박 의원의 질문에는 “내부 사정이라 잘 알 수는 없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SK텔레콤이 먼저 신고하는 바람에 불이익은 혼자 다 당하고 마케팅 등에서 엄청나게 당했다”며 “KT에 대해서도 지금 위약금 면제 얘기를 얼마든지 할 수 있는 상황인데 SK텔레콤이 처음에 하다 보니 훨씬 매를 많이 맞은 느낌”이라고 말했다.

홍 대표는 당국의 해킹 통보가 지난 7월에 있었는데 왜 사실을 가장 늦게 파악했는지를 묻는 질문에 “아직도 침해 사실 확인은 되지 않은 상황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해커들이 요즘 로그 기록을 남기면서 해킹하지 않는 상황에서 (정보가) 어떻게 나갔는지를 모르는 것인데, 교묘하게 말을 섞어서 국회 상임위장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무단 소액결제 사태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KT의 김 대표에 대해서도 의원들 질타가 집중됐다.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KT 영업점에서 SK텔레콤 해킹 사태와 위약금 면제를 이용해 마케팅에 나선 사례가 이달 초까지 발견된다”고 말했다.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 대표를 비롯해 KT 관계자들을 지난번 국회에 불렀을 땐 ‘괜한 지적을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지난 17일 KT에서 발표한 피해 발표 결과를 보면서 어떻게든 축소하려고 하고 무능한 KT를 지적할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대표는 의원들의 지적이 이어지자 결국 해킹 피해자에 대한 번호이동 위약금을 면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피해자 2만20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위약금 면제 고지 등 관련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전체 고객 대상 위약금 면제와 관련해선 “(민관합동조사단) 조사 결과와 피해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KT 측은 해킹·정보유출 피해 고객들에 대한 번호이동 위약금 면제 조치에 대해 불확실한 태도를 취해왔다. 세 차례에 걸친 언론 브리핑에서는 “합동조사단 및 경찰의 조사 결과를 보고 검토하겠다”고 했고, 김 대표도 지난달 24일 국회 과방위 주도로 열린 청문회에서도 “조사 결과를 보고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김 대표는 계속되는 의원들의 사퇴 압박에 “CEO는 총체적인 경영 책임이 있기 때문에 합리적 수준의 책임을 지는 게 마땅하다”며 사퇴 수습 후 사퇴를 시사하는 답변을 내놨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