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경북 청도 무궁화호 열차 사고에 대한 의원들의 비판이 이어졌다.
배준영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대전 한국철도공사에서 열린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청도 사고 당시 안전 교육 일지나 안전 작업 확인 점검표, 일일 작업 계획서를 보니 실제로 작업한 사람과 서류상 기재된 사람이 다르다”고 지적했다.
배 의원은 이어 “작업 교육 일지, 안전 작업 확인표, 열차 감시자 배치 여부 등의 서류에 사인을 했다고 하는데 코레일은 하청업체가 한 것이라 책임이 없다는 취지로 답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그러면서 현장작업자 실명 등록 의무화와 안전교육이력 전산대조시스템 도입, 하청업체 인력 변경 실시간 보고 체계 구축 등 사고 방지를 위한 시스템 개선을 촉구했다.
김희정 국민의힘 김희정 의원 역시 “작업계획서에 등재된 인물과 실제 작업자가 다른데, 이번이 처음이 아니었다”며 “구로역 사고 때도 작업계획서에 있는 인원 전원이 현장에 있었던 게 아닌데도 현장에 있었던 것처럼 사인돼 있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어 “작업이 끝나면 작업 시행 점검표에 재차 확인을 하도록 돼있는데, 이 단계에서도 한 번도 확인되지 않았다”며 “계획대로 해도 사고를 막기 어려운 상황에서 사람을 바꿔치기하니 문제가 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정래 한국철도공사 사장 직무대행은 “작업자 상해 부분에 대해서는 시스템적으로 보안하겠다”며 “전국에 있는 8000여개의 출입문도 들어갔을 때 확인될 수 있도록 전부 디지털로 바꿀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 8월 19일 오전 10시 50분쯤 경북 청도군 남성현역∼청도역 구간 경부선 철로에서 동대구역을 출발해 경남 진주로 향하던 무궁화호 열차가 선로 근처에서 작업을 위해 이동 중이던 근로자 7명을 치어 2명이 숨지고, 나머지는 부상을 입었다.
대전=김성준 기자 ks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