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유일 특례시(인구 100만 이상)인 경남 창원에서 ‘동대구∼창원 고속화철도’를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할 것을 촉구하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18일 창원중앙역에서 ‘창원 KTX 고속철도 반영을 위한 범시민추진위원회’ 발대식이 열렸고, 창원시 등이 주도하는 대대적인 서명운동도 시작됐다.
범시민추진위에는 더불어민주당 허성무 국회의원실, 창원YMCA, 국립창원대, 한국노총 창원·마산지부, 창원상공회의소, 경남경영자총협회 등이 참여했다.
범시민추진위는 발대식에서 올 연말 정부가 확정·고시할 예정인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동대구∼창원 고속철 사업이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창원시는 ‘동대구~창원 고속화철도 사업’을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시키기 위한 범시민 서명운동을 다음 달 16일까지 이어갈 계획이다.
창원은 비수도권 유일한 특례시로 상당한 인구와 산업기반을 갖췄지만, 철도교통 인프라가 열악하다. KTX를 타고 서울∼동대구∼창원을 이동하는 데 3시간 이상이 걸려 불편하다는 시민들 민원이 끊이지 않았다.
KTX만 다니는 고속 전용선인 서울∼동대구∼부산 구간과 달리 현재 동대구∼창원 구간은 KTX와 새마을호, 무궁화호가 동시에 운행되는 저속 일반철도다.
동대구∼창원 고속화철도가 구축되면 창원∼서울까지 이동시간이 2시간 20분대로 줄어 수도권 접근성이 좋아진다. 또 대구∼창원∼부산을 연결하는 초광역 경제권 형성으로 산업·물류·관광 분야 성장효과도 기대된다. 이번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은 오는 12월 확정될 예정이다.
창원시는 남은 기간 ‘동대구-창원 고속화철도’ 반영을 요구하는 시민 뜻을 모아 정부와 국회에 직접 전달하기 위해 10만명 참여를 목표로 서명운동을 시작했다.
범시민추진위 관계자는 “창원은 100만 특례시이자 산업 중심지지만 고속열차 운행 부족 등 교통 불균형 문제를 겪고 있다”며 “시민사회와 지역단체, 정당 등이 힘을 모아 동대구∼창원 고속철 도입을 반드시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