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가 AI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행정 혁신을 통해 시민이 체감하는 스마트 행정을 본격화한다.
고양시는 최근 디지털 기술을 행정 전반에 확산하기 위해 ‘스마트 레터링서비스’와 ‘모바일 스마트 행정포털’을 도입하고, ‘2026~2030 정보화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20일 밝혔다. 시는 이들 사업을 통해 시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공무원 업무 효율을 높이는 디지털 행정 체계를 완성할 방침이다.
시가 도입하는 ‘스마트 레터링서비스’는 공공기관 발신 전화를 신뢰할 수 있게 만드는 AI 기반 시정 안내 서비스다. 행정전화 발신 시 시민의 스마트폰 화면에 발신 기관명, 부서명, 안내 문구가 표출돼 전화의 신뢰성과 응답률을 높인다.
통화 종료 후에는 부서별 카드뉴스, 유튜브 영상, 정책 링크가 자동 표시돼 시민에게 시정 정보를 자연스럽게 알리는 역할도 한다. 시는 이 서비스를 위해 1억9000만원을 투입, 총 4000여대의 행정전화에 적용하고 11월 시범운영을 거쳐 2026년 1월 정식 운영에 들어간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보이스피싱 범죄는 5878건으로 전년 대비 17% 늘었고, 기관사칭형 피해가 가장 많았다. 시는 이러한 추세에 대응해 시민의 전화 피해를 예방하는 동시에, 공공 발신 전화의 신뢰 확보로 시정소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레터링 미지원 단말기에는 카카오 알림톡을 통해 동일한 정보가 제공되며, 수신 거부 기능도 포함됐다.
내년 1월에는 ‘모바일 스마트 행정포털’이 정식 개통된다. 거점형 스마트시티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이 포털은 공무원이 시간과 장소 제약 없이 모바일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시는 1억 원을 투자해 올해 8월부터 인프라를 구축, 11월부터 시범 운영 후 기능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모바일 포털에서는 새올행정시스템 게시판 실시간 열람, 공지사항 알림, AI 음성인식 전화발신, 비상연락망 설정 등이 가능하며, 당직명령표·식단 확인 같은 생활편의 서비스도 제공된다. 특히 화면 캡처 방지, 파일 다운로드 제한 등 강화된 보안 기능이 적용돼 행정정보 유출을 차단한다.
또한 시는 AI·빅데이터·클라우드 등 첨단 ICT 기술을 적극 활용하기 위한 ‘2026~2030 정보화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다. 올해 5월 착수해 12월까지 완료할 예정인 이번 계획은 ‘시민과 함께 성장하는 디지털 도시 고양’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데이터 기반 행정, 시민 체감형 서비스, 디지털 인프라 조성, 도시 경쟁력 강화 등 네 가지 전략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이를 통해 시는 업무 효율과 민원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동시에, 디지털 격차 해소 정책으로 주민 모두가 디지털 전환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디지털 행정 환경 구축은 행정 효율성과 시민 만족도를 함께 높일 수 있는 핵심 과제”라며 “AI와 정보기술을 활용한 소통 혁신을 통해 고양시를 선도형 스마트 도시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