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16개 구·군에서 전산직 공무원이 250명가량 근무하고 있지만, 인공지능(AI) 관련 업무를 전담하는 인력은 10여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빅데이터 분석에 특화된 데이터직류 공무원은 한 명도 없어, 사실상 AI 전문 인력이 전혀 없는 상태다. AI 행정이 빠르게 확산하는 가운데 지방자치단체가 기존 전산직 공무원에게 AI 업무를 겸직시키는 방식에 머물러 있어 인력 공백이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19일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을)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부산시청과 16개 구·군의 전산직 공무원은 각각 124명씩 총 248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AI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은 시청 16명, 구·군 2명 등 18명에 그쳤다. 시와 구·군 모두 각각 6명의 추가 인력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현재 AI 관련 업무는 대부분 기존 전산직 공무원이 본연의 정보시스템 관리·보안 업무와 함께 겸직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데이터직류가 신설됐지만 별도 채용 실적이 없고, 대부분의 지자체가 여전히 범용형 전산직류를 중심으로 조직을 유지하고 있다.
데이터직류는 2020년 신설돼 2023년부터 채용이 시작됐으나, 5년째 인력 확충은 지지부진하다. 데이터직류가 빅데이터 분석에 특화된 반면 전산직류는 시스템 인프라 전반을 담당하는 범용형으로 분류돼 지자체들이 전산직 중심 인사 체계를 유지하는 추세다. 부산도 데이터직류 신규 채용이 이뤄지지 않았다.
행안부에 따르면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14곳이 “AI 행정 수행 인력이 부족하다”고 답했으며, 부산 역시 6명의 추가 인력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전국 평균 AI 업무 수행 인원은 7명 수준으로, 서울(15명), 인천(20명)에 이어 부산은 세 번째로 많지만, 행정 수요 대비 전문 인력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으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지방정부의 AI 행정이 인력 재편 없이 기술 도입 중심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한다. 정부가 ‘AI 기반 행정혁신’을 강조하는 가운데 이를 뒷받침할 지방자치단체 전문 인력이 심각하게 부족하다는 평가다. 전산직 중심 구조로는 데이터 분석과 알고리즘 설계 역량을 확보하기 어렵고, 장기적으로 AI 행정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힘들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의원은 “사람 없는 AI 행정은 불가능하다”며 “현재처럼 전산직에 AI 업무를 덧붙이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명확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데이터·AI 직무 체계 개편 로드맵을 마련하고, 광역 단위 공동 정원제를 도입해 인력 격차를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