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을 운영하며 지난해 장애아동 4만4000여 명에게 집중재활치료와 의료서비스를 제공했다고 19일 밝혔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에 마련된 경기도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수도권 최초로 지정된 어린이 재활의료기관이다. 고위험군 아동과 중증 장애아동에게 필수적인 집중재활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지역사회 기반 어린이 재활의료체계를 구축해 아동과 가족이 거주지에서 단절 없는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
병원은 로봇보행치료, 수중재활치료, 호흡재활, 전산화 인지치료 등 전문적인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해왔다. 로봇보행치료는 2021년 401건에서 지난해 3167건으로 8배 가까이 급증했다.
전국 최초로 병원학교 유치부를 위탁운영함으로써, 아동들이 학습과 치료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해 학부모와 환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병원은 다학제 협진 체계를 갖추고 재활의학과, 소아청소년과, 정신건강의학과, 정형외과, 치과 등 다양한 전문 진료과를 운영하고 있으며, 치료 프로그램 고도화와 함께 전국 단위 심포지엄 및 전문인력 교육 등을 통해 어린이 재활의료서비스의 질 향상과 표준화를 선도하고 있다.
이로 인해 경기권뿐 아니라 전국의 어린이재활 의료기관들과의 네트워크를 주도하며 선도 기관으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신속진료제도’를 구축해 긴급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대기 없이 즉시 재활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코로나19가 유행 중이던 2021년 임시 운영을 시작으로 2022년 51병상을 갖춘 정상 운영에 돌입했으며, 올해 상반기까지 누적 15만7000여 건의 진료를 제공한 바 있다.
이종익 경기도 건강증진과장은 “경기도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전국 유일의 급성기 종합병원 기반 어린이재활기관으로, 지역 내 장애아동과 가족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고 있다”며 “올해 보건복지부 경기권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재지정을 통해 어린이재활모델이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