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에서 범죄에 가담했다가 이민 당국에 구금된 한국인 64명이 18일 오전 국내로 송환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재외국민안전대책단은 “그들은 폭력·감금의 피해자이자 한편으로는 범죄 단체 조직에 들어가 우리 국민에게 사이버 범죄를 한 가해자 신분이다. 냉정하게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대책단 소속 황명선 최고위원은 이날 캄보디아 현지 활동 뒤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하면서 회견을 열고 “현지 범죄 단지에 들어가면 의사와 상관없이 구금·폭행 당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송환 대상자들은 전세기에 타자마자 기내에서 체포돼 귀국 직후 관할 경찰관서로 압송됐다. 충남경찰청 45명, 경기북부청 15명, 대전경찰청 1명, 서울 서대문경찰서 1명, 경기남부청 김포경찰서 1명, 강원 원주경찰서 1명 등으로 분산됐다. 이들은 이른바 ‘웬치’로 불리는 캄보디아 범죄단지에서 보이스피싱이나 로맨스 스캠(사기) 등 범죄에 가담한 혐의를 받는다.
황 최고위원은 “(구금된 한국인) 송환 업무를 위해 이틀에 걸쳐 캄보디아 의원들을 만나 설득하고 강력히 요청했다”며 “한국 경찰과 공조해 수사를 신속히 할 수 있도록 코리안데스크 설치도 강력 요청해 캄보디아 상·하원 의회와 정부로부터 적극적·긍정적 의견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어하면 풍선효과처럼 주변국 인근으로 가는 일들이 발생한다”며 “이런 상황을 철저히 파악해 근본적인 사이버 범죄 차단 및 국민 사기 피해 방지 입장을 긴밀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대책단은 이번 사태로 인해 한국과 캄보디아 간 우호 협력 관계가 영향을 받아선 안 되며, 현지 교민들이 전체적으로 매도되는 상황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최고위원은 “양국 관계가 더 정상화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했으며 정부 및 당 차원에서 재외동포 분들의 우려가 해소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홍기원 의원도 “캄보디아에 우리 동포 1만여명이 사는데 이번 사건과 관련해 안 좋은 내용들이 국내에 과도하게 잘못 알려져 그분들이 생업에 심각하게 타격을 입고 낙인찍히는 문제에 대해 호소가 많았다”고 전했다.
앞서 대책단은 지난 15일 캄보디아 현지로 급파돼 캄보디아 당국 및 정치권을 만나 대응을 논의하고 범죄 현황을 점검했다. 대책단장인 김병주 최고위원은 현지에 잔류해 한국인 청년 구출 관련 추가 대응을 하고 19일 따로 귀국할 예정이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