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대 교원 갑질 논란 확산…직원까지 제도 개선 촉구

입력 2025-10-17 19:48
신한대학교 직원 200명이 17일 학내 인권 수호와 제도 강화를 촉구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신한대학교 제공

신한대학교 직원 200명이 17일 일부 교원의 학생 인권 침해와 갑질 의혹 사태와 관련해 학내 인권 수호와 제도 강화를 촉구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이번 직원 성명은 앞서 교수진 100명이 낸 윤리 확립 성명에 이어 나온 것으로, 교직원 전체가 인권 침해 근절과 건강한 조직문화 조성을 위해 뜻을 모은 것으로 풀이된다.

직원들은 이번 사안을 “개인의 일탈을 넘어 대학의 윤리와 인권 의식에 대한 근본적 도전”으로 규정하며, 실질적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개선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직원 일동은 “학생을 존중과 성장의 주체로 대하지 않고 통제의 대상으로 삼는 행위는 결코 교육의 이름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며 “언어폭력·모욕·사생활 침해 등은 교육자의 자격을 포기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또 “피해 학생들이 용기를 내어 문제를 제기했음에도 일부에서 허위 주장을 퍼뜨려 2차 가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중단과 공동체의 신뢰 회복을 촉구했다.

이번 사태는 일부 교원이 학생들에게 부적절한 언행을 하거나 행정권을 남용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불거졌다. 학교는 자체 조사 결과 복수의 교원에게 교육권 남용과 윤리 위반 정황이 확인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

또 최근에는 학내 명예훼손 소송과 관련한 법률비용을 학생회비로 대납한 의혹까지 제기돼 파장이 커지고 있다. 학교 측은 “학생회비 사용 전반에 대해 별도의 진상 조사와 책임 추궁을 병행하겠다”며 “교원이 학생회비 사용에 개입한 것은 학생의 자율적 판단과 학습권을 침해한 부적절한 사례”라고 밝혔다.

직원 일동은 성명에서 대학이 실질적인 변화를 이루기 위한 다섯 가지 제도적 과제를 제안했다. ▲인권센터 기능 강화 ▲참여형 인권·윤리 교육 확대 ▲캠퍼스 안전관리 의무화 ▲피해자 보호시스템 구축 ▲정기 인권포럼 및 실태조사 제도화 등이다.

직원들은 “이 과제들이 신한대가 대학다운 본질을 회복하고 정의롭고 안전한 공동체로 거듭나는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직원들은 “교육은 권위를 행사하는 공간이 아니라 상호 존중과 책임이 공존하는 공동체여야 한다”며 “학교가 이번 일을 계기로 인권 중심의 대학문화를 정착시키고 윤리 기준을 재정립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신한대 관계자는 “학생회비 유용 의혹을 포함한 모든 사안을 철저히 검증해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며 “모든 구성원이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하고 건강한 교육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