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현지시간) 한·미 무역 협상에서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선불 요구(up front)와 관련해 “외환 사정상 한국이 그렇게 하기 어렵다는 걸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에게 설명했고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고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베선트 장관이 선불 투자 요구 철회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입장을 밝히느냐가 최종 관문이 될 전망이다.
구 부총리는 이날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 빌딩에서 취재진을 만나 이같이 밝힌 뒤 “베선트 장관이 자기가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설득을 하고 충분히 설명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다만 “베선트 장관이 그런 부분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하워드 러트닉 (상무) 장관이나 행정부 내부에 좀 얘기를 해달라고 말한 상황”이라며 “아직까지는 미국이 철회했다, 안 했다고 말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3500억 달러를 빨리 업프론트(Up front)로 하라는게 미국의 강한 주장이라고 알고 있다”며 “실무 장관들은 (한국 상황을) 이해를 하고 있는데 이것을 트럼프 대통령이 수용하느냐는 불확실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구 부총리는 제4차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와 IMF·세계은행 연차 총회에 참석하고 위해 워싱턴을 찾아 전날 베선트 장관을 만났다.
구 부총리는 통화 스와프 등 외환 안정 방안과 관련해 “산업부와 미국 상무부 간의 어떤 스킴(계획)이 확정되고 나면 거기에 따라서 외환 수요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업프론트(선불)로 내면 외환 수요 상 안 된다고 했기 때문에 다른 대안이 나오고 거기에 따라 외환 수요를 한국 외환 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냐 판단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 부총리는 3500억 달러 총액 변동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저희는 변화 가능성을 주장하고 있다”면서도 “양국 간의 많은 얘기를 하고 있기 때문에 열어두고 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하지만 미국은 굉장히 강하게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했다.
한국 정부는 이달 31일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 미국과의 무역 협상 타결을 추진하고 있다. 구 부총리는 “국익의 관점에서 한국이 요청하는 대로 협상이 이뤄진다면 빨리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APEC 계기로 할 수만 있다면 터닝포인트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구 부총리는 미국 정부가 한국 정부에 미국산 대두 수입을 요구하고 있느냐는 질의에 대해서는 “협상 과정 중이어서 확인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3500억 달러를 10년간 나눠서 투자한다는 방안, 한국 원화로 투자한다는 방안 등에 대해서는 “제가 정확하게 알기 어렵다” “처음 듣는 얘기”라고 선을 그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