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미 무역 협상의 쟁점인 3500억 달러(약 500조원) 대미 투자 ‘선불 요구’에 대해 한국 정부의 우려 사항을 미국 측에 전달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설득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입장을 밝혔다.
방미 중인 구 부총리는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특파원들과 만나 “3500억 달러를 빨리 업프론트(선불·Up front)로 하라는 것이 미국의 강한 주장이라고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구 부총리는 “실무 장관들은 (전액 선불 투자가 어렵다는 한국 정부 입장을) 이해하고 있는데, 얼마나 대통령을 설득해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걸 수용하느냐 부분은 불확실성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3500억 달러를 선불 형식으로 미국에 투자하는 데 동의했다고 두 차례 언급했었다. 실제 협상에서 선불 투자 요구가 거세다는 게 구 부총리의 설명으로 해석된다.
구 부총리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전날 만나 대미 투자 선불 요구가 한국 외환시장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했다.
구 부총리는 이러한 요구는 “외환 사정상 한국이 그렇게 하기 어렵다는 것을 베선트 장관에게 말했고, 베선트 장관은 한국이 한꺼번에 선불로 내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이 부분을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 행정부 내부에 (한국 입장을) 이야기해달라고 요청했고, 자기가 충분히 설명하겠다는 긍정적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또 구 부총리는 “3500억 달러 이상으로 (투자액을) 늘려야 한다는 얘기는 하지 않는다”고도 부연했다.
3500억 달러 투자 시기를 최대 10년으로 나누고 원화로 투자금을 조달하는 방안을 양국이 논의 중이라는 일부 보도에 대해선 “처음 듣는 이야기”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가 한국 정부에 미국산 대두 수입을 늘릴 것을 요구했는지에 대해서는 “협상 과정 중이라 확인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