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은 16일 “국회 국정감사에서 제기된 이번 화재 관련 지적 사항을 엄중하게 받아들인다”며 “국민 여러분의 목소리를 깊이 새기고 사고를 수습하는데 모든 역량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윤 본부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말하며 “이러한 일이 반복되는 일이 없도록 정보 시스템 관리 체계를 근본적으로 재정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행정정보시스템 709개 시스템 중 324개가 복구돼 전체 시스템의 45.7%가 정상화됐다.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1등급 시스템은 복구율이 77.5%다.
윤 본부장은 ”대전센터에서 스토리지 복구를 본격화하여 복구 작업에 더욱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국민 일상에 영향이 큰 보훈서비스, 법령정보서비스 등 1·2등급 포함 미복구 289개 시스템은 우선 10월 말까지 복구를 완료하겠다”고 알렸다.
이외 법제교육 등 기타 76개 시스템은 다음 달 20일까지 서비스 재개가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나머지 20개 시스템은 대구센터로 이전·복구가 예정돼 있다.
앞서 정부는 이번 장애시스템 복구 3대 원칙으로 ‘안전·보안·신뢰’를 제시한 바 있다. 이런 원칙에 따라 복구 과정에서 현장 인력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복구현장의 보안을 철저히 관리할 방침이다.
중대본은 화재로 인한 건물 안정성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국정자원 대전센터 건물 구조진단을 실시했다. 신규도입 장비들은 하중과 안전기준을 세밀히 검토한 뒤 배치하는 등 복구과정에서 안전 원칙을 철저히 준수해 나가기로 했다.
윤 본부장은 “대통령께서도 말씀하셨듯이 정보시스템은 국정운영의 신경망과 같다”면서 “각 기관에서는 정보시스템의 완전한 복구에 총력을 다해주시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