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연천군이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공모에 참여하며 농촌형 기본소득 모델 확산에 나섰다.
연천군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2026년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공모에 참여하기 위해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인구감소와 지역 불균형을 겪는 농어촌에 일정 금액의 기본소득을 지급해 지속 가능한 지역공동체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국가 단위 실험이다.
연천군은 2022년부터 경기도 농촌기본소득 시범사업(청산면)을 선도적으로 추진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국가 시범사업에 참여한다.
시범사업을 통해 지역 단위 기본소득 제도화의 가능성을 검증하고, 농촌의 새로운 경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간 연천군 청산면에서는 전 주민에게 월 15만원의 지역화폐(연천사랑상품권)를 지급해 소상공인 매출이 약 12% 증가하고, 주민공동체 활동 건수가 1.8배 늘어나는 등 뚜렷한 성과를 거뒀다.
연천군은 이번 국가 시범사업에서 ▲청년농업인 정착 지원 ▲로컬푸드 소비 확대 ▲마을공동체 순환경제 구축 ▲농촌경제 활성화 등 구체적인 실험 목표를 설정했다.
특히 기본소득 지급과 지역경제 순환을 결합한 ‘기본소득+순환경제’ 모델을 제시해 농촌소멸에 대응하는 지속 가능한 경제체계를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김덕현 연천군수는 “연천군은 농촌기본소득 정책 실험을 가장 먼저 시도한 지역으로 주민 생활 변화와 경제 효과를 직접 확인했다”며 “이번 국가 시범사업을 통해 연천의 경험이 전국 농촌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천=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