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사 ‘하늘의 별따기’…6조원대 대한방직 부지 개발, 연내 착공 분수령

입력 2025-10-15 14:05 수정 2025-10-15 14:15
전주 관광타워 복합개발사업 투시도. 자광 제공.

전북 전주 도심의 중심부에 자리 잡은 옛 대한방직 부지가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한때 멈춰 있던 공장지대가 6조원대 규모의 초대형 복합개발사업으로 탈바꿈을 앞두고 있다. 연내 착공을 목표로 한 이 사업은 도심 재편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다만 시공사 선정이 지연되면서 실제 공사 개시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

14일 대한방직 부지 복합개발사업 시행사인 자광 등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전주 관광타워 복합개발사업 주택건설 사업계획’ 승인을 받았다.

사업계획 승인은 공사 착수를 위한 마지막 행정 절차이다. 이 단계 이후 시공사 확정과 착공신고가 이어지면 공사에 들어갈 수 있다.

총사업비 6조원 규모의 옛 대한방직 부지 개발사업은 전주 도심 6만9000여평(23만565㎡) 부지에 주거·상업·문화시설을 복합 조성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계획안에 따르면 부지에는 470m 높이의 관광전망타워, 200실 규모의 호텔, 대형 복합쇼핑몰, 3536세대 아파트가 들어서며, 문화공원(8만㎡)과 공개공지, 지하차도 및 교량 신설, 주변 도로 확충도 함께 추진된다. 완공 목표는 2030년이다.

그러나 시공사 선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정부규제 강화 기조와 중대재해처벌법 강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기자본비율 확대 등으로 건설업계가 대형 민간개발 참여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자광 측은 “사업 승인이 이뤄진 만큼 11월까지는 시공사를 선정할 계획이다”며 “1군 건설사 2~3곳과 협의 중이지만 구체적인 사항은 밝히기 어렵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 1군 건설사 중 GS건설은 “개발 제안을 받아 MOU를 체결한 상태로 참여 여부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고, DL이앤씨는 “국내에서 다양한 주요 프로젝트 참여를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최근 PF 조건이 까다로워져 자기자본비율이 높아야 금융권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며 “대한방직 부지 개발 역시 시공사 선정이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고 말했다.

전주시는 이달 말부터 오랫동안 흉물로 방치된 옛 공장 건물 철거 공사에 들어갈 계획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착공신고 시점에 시공사 서류 제출하기 때문에 현재로선 확인할 수 없다”며 “사업 정상 추진을 위해 행정 절차를 신속히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고분양가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자광 측은 한 차례 평당 2500~3000만원 수준의 분양가가 형성될 것으로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독점 시행 구조에서 비롯된 고분양가 우려가 크다”며 “시장 상황과 공공성 확보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도내 부동산 업계 전문가들은 “전주 도심 중심축에 대형 복합시설이 들어서면 상권 재편과 관광 유입 효과가 상당할 것”이라면서도 “공공성 확보와 분양시장 상황, 자금 조달 여건이 향후 사업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주=최창환 기자 gwi122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