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의자 신분으로 내란특검에 소환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특검 질문에 일절 답하지 않고 진술거부권을 행사하고 있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박지영 특검보는 15일 브리핑에서 외환 의혹 조사와 관련해 오전 10시14분쯤부터 윤 전 대통령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이 지난 7월 재구속된 이후 수사기관에 출석한 것은 처음이다.
이날 조사는 박향철 부장검사와 문호섭 검사가 맡았다. 윤 대통령 측에서는 김홍일·배보윤 변호사가 조사에 입회했다. 외환 의혹과 관련해 조사실에서 윤 전 대통령과 처음 대면하는 것이다.
박 특검보는 “인적 사항부터 일체 진술을 거부하고 있다. 영상 녹화 조사도 거부해서 현재 일반 조사 중”이라며 “11시14분 휴식을 요구해서 지금 휴식 중이다”고 설명했다.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은 “이미 1·2차 조사 당시 특검의 주요 질문에 충분히 입장을 밝힌 바 있어 모든 질문에 진술을 거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변호인단 이날 낸 입장문에서 “오전 7시30분쯤 피의자가 세면도 하지 못한 상태에서 교도관들이 기습적으로 영장을 집행하려는 상황이 벌어졌다”며 “교도관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세면도 하지 못하고 옷만 챙겨입고 자진 출석했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의 진술거부권 행사에도 준비한 질문지를 모두 소화할 계획이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기 위해 북한을 도발하려 지난해 10월쯤 드론작전사령부에 평양 무인기 투입 작전 등을 지시한 것으로 의심한다.
특검팀은 이와 관련해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과 이승오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 등 당시 작전 지휘 체계상 핵심 인물들을 여러 차례 소환 조사하며 혐의를 다져왔다.
특검팀은 조사과정에서 작전 계획 단계인 6월쯤 군 지휘 계통이 아니었던 김용현 당시 경호처장이 군 핵심 관계자 다수에게 비화폰으로 연락해 무인기 작전을 물어본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사령관이 ‘V(대통령) 보고서’ 작성에 직접 관여하고 용산에 가서 V 보고서를 직접 보고했다는 드론사 내부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이날 조사를 토대로 혐의 내용을 확정한 뒤 이달 중 윤 전 대통령을 추가 기소할 방침이다.
다만 박 특검보는 “가급적 10월 중 기소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확정적이라고 말하긴 곤란한 상황”이라며 “윤 전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이 진술을 거부하기 때문에 훨씬 더 광범위하게 향후 문제가 될 수 있는 사항을 사전에 다 파악할 필요가 있어 조사가 더 길어지는 측면이 없지 않다”고 말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