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캄보디아에 탐문 수사를 다녀온 경찰 관계자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사기 범죄를 벌이려면 조직원으로 한국인이 필요하다”며 현지 범죄 조직의 실태를 설명하고 주의를 촉구했다.
오영훈 부산 서부경찰서 수사과장은 15일 연합뉴스에 “지난해부터 캄보디아를 근거지로 한 범죄가 급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오 과장이 속한 수사팀은 현재 투자 리딩 사기 사건을 수사하고 있다. 피해자를 속인 범죄 조직의 근거지는 캄보디아에 있는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캄보디아 일당은 유튜브 광고를 시청해 조회수를 높이면 수익금을 지급하겠다며 사람들을 유인했다. 이후 투자하면 높은 수익을 배당해주겠다며 새로운 제안을 한 다음 투자금을 가로채 잠적했다.
경찰은 지난 8월 해당 조직을 추적하기 위해 캄보디아를 찾았고 일당의 근거지를 직접 확인했다. 경찰에 따르면 범죄 단지는 큰 호텔이나 리조트에 마련됐다. 4~5m 높이의 담벼락이 빙 둘려 있었으며 입구는 경비병이 지키고 있었다. 경찰은 유사한 범죄 단지는 현지에 약 50곳이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동원된 한국인은 약 2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오 과장은 “총책은 대부분 자본력을 가진 중국 범죄조직이 맡으며 그 아래에는 한국인 팀장을 거느린다”며 “한국인을 포섭하는 한국인 브로커가 사이버 도박, 피싱, 투자 리딩 사기 등을 알선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인의 지인을 포섭하거나 고소득 일자리 보장, 항공료나 숙박료 무료 등을 제시하며 유인한다”고 강조했다.
오 과장은 지난해부터 캄보디아를 근거지로 한 범죄가 부쩍 늘었다고 전했다. 그는 “인터넷 주소(IP) 추적이나 범행 가담자를 분석해 보면 캄보디아와 연관된 사례가 매우 많았다”며 “코로나19 이후 호텔, 카지노 사업을 하던 중국인이 철수하면서 그 자리를 범죄조직이 차지해 규모가 커진 듯하다”고 설명했다.
최근 한국인이 납치나 감금의 표적이 된 이유는 캄보디아 범죄조직이 한국인을 상대로 한 사기 범죄를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오 과장은 “이들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범행을 벌이고 있으며 일본, 대만, 홍콩, 미국, 중동 등으로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며 “각국 현지인을 조직원으로 끌어들이는데, 한국인도 그 대상이 된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 관계자는 “캄보디아 여행객은 야간에 택시 등 이동 수단 이용을 자제하고 해외 고소득 일자리를 내세운 취업 제안은 반드시 의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