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 중심지로 꼽히는 경남의 대미 수출액 급감이 예상되면서 경남연구원이 대응방향을 분석해 제시했다.
경남연구원은 최근 ‘한·미 통상 현안과 경남 경제:경남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와 대응 방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한미 간 통상 현안이 경남 지역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과 대응방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관세 15%가 부과될 경우 경남의 대미 수출액은 연간 약 4990억 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별로는 자동차(1374억 원), 일반기계(1200억 원), 항공(820억 원) 등 주력 수출 품목에서 감소폭이 클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조선과 방산 분야는 미국의 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와 원전·에너지 협력과 연계해 새로운 기회가 열릴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5000억 달러 규모로 거론된 대규모 대미투자는 생산성 향상과 국제 협력 확대라는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동시에 국내 투자 위축, 산업 공동화, 핵심 기술 유출 위험이라는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가진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경남연구원은 자동차 산업 내 한계기업 사전점검 및 위기대응 체계 구축, 조선·방산 분야 대규모 정부사업 선제 대응, 데이터센터용 소형모듈원자로(SMR) 및 히트펌프 기술 투자 확대를 제안했다. 또 조선·기계 산업 생태계 보완 장기 로드맵 수립 등을 주요 대응 과제로 제시했다.
경남도는 이를 바탕으로 경제부지사를 중심으로 한 산업안정대책TF를 선제적으로 구성·운영하면서 한미 통상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우평 경남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번 보고서는 단기적 현안 대응을 넘어 중장기적으로 경남 산업 구조에 미칠 파급효과와 정책적 대응 방향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이라며 “지역 산업계가 중앙정부가 함께 전략을 마련해 경남이 기회와 위기를 균형 있게 관리할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