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정연구원, ‘2차 공공기관 이전’ 전략 제시

입력 2025-10-14 09:55
전북 전주시청사. 전주시 제공.

전북 전주시정연구원이 현 정부의 국정과제인 ‘2차 공공기관 이전 등 균형성장 거점 육성’에 발맞춰 2차 공공기관 이전의 필요성과 전략적 대응 방향을 제시했다.

14일 전주시정연구원에 따르면 전주시의 전략적 대응 방향을 제시한 ‘JJRI 이슈브리프 제10호’를 발간했다. 연구원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공공기관 이전은 수도권 집중과 지방 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정책”이라며 “지방 이전을 통해 지역과 상생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1차 공공기관 이전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청년층 인구 유입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지만, 여전히 수도권 집중과 지방 소멸이 심화되는 만큼 2차 이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공공기관 2차 이전을 통해 인구 유입, 도시 기반 조성, 연관 산업 일자리 창출, 지방세 유입 등 다양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유발하는 지역 발전 정책 수단이라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중앙정부·이전기관·지방자치단체의 3대 주체 간 이해관계 조율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중앙정부는 균형발전과 효율성을, 이전기관은 경영환경을, 지자체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최우선 가치로 두고 있어 이들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전주시의 경우, 혁신도시와의 연계성과 교통 접근성, 혁신거점으로서의 입지 적합성이 높고 개발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을 선정해 공공기관 유치 전략을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북도 차원에서는 기존 전북혁신도시, 거점도시인 전주시, 새만금개발지구와의 연계를 강화해 단순 이전을 넘어 시너지 효과를 새로 마련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미자 전주시정연구원장은 “2차 공공기관 이전은 지역 발전의 중대한 관문”이라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인구소멸 대응을 위해 산·학·연·관이 협력해 전주에 적합한 공공기관이 이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주=최창환 기자 gwi122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