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12조원대 영업이익을 내며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하는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 역시 분기 최초로 80조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글로벌 빅테크들과 대규모 계약을 연이어 성사시키고, 범용(레거시) 반도체 업황까지 살아나면서 실적 개선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시장 기대치를 웃돈 실적을 공개하면서 삼성전자 주가는 장 초반 올라 9만6000원을 ‘터치’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14일 연결 기준 올 3분기 영업이익이 12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8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전 분기(4조6800억원) 대비 158.55% 증가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분기 영업이익은 2024년 2분기(10조4400억원) 이후 5분기 만에 10조원대를 회복했다. 또 2022년 2분기(14조1000억원) 이후 3년여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분기 매출은 86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2% 늘었다. 전 분기 대비 15.33%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 기록을 세웠다. 과거 최대 분기 매출 기록은 지난해 3분기 79조1000억원으로 처음 80조원대를 넘어섰다.
부문별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증권업계에선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6조원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내면서 2분기(4000억원) 대비 실적이 크게 반등한 것으로 보고 있다.
DS부문은 미·중 무역규제로 지난 2분기 대규모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이 발생,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반토막 났었다.
하지만 3분기 들어 D램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고대역폭메모리(HBM) 출하량 증가하는 한편 비메모리 사업 부문 적자 규모가 줄어들면서 반등세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4분기 후 비메모리 분야는 3분기 연속 2조원 넘는 적자를 기록했는데, 파운드리 가동률이 상승하면서 적자 폭이 1조원가량으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추산된다.
반도체 외 다른 사업 부문도 견조한 실적을 기록하며 실적 개선에 힘을 보탠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 사업부는 폴더블 신제품 판매 호조에 힘입어 3조원대 영업이익을 이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디스플레이 1조1000억~1조2000억원, 하만 9000억~1조원, TV·가전 3000억~4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각각 기록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오전 9시50분 기준 삼성전자는 전장 대비 1.50% 오른 9만47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주가는 한때 9만6000원까지 상승하며 2021년 1월 11일 기록한 역대 최고가(9만6800원)에도 바짝 다가섰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