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바라만 보던 산에서 돈 되는 산’으로 만든다”

입력 2025-10-13 15:24
지난 3월 28일 경북 의성군 산림이 산불에 초토화 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경북도가 초대형 산불 피해지역의 산림을 안정적인 소득 기반으로 전환하기 위한 ‘산림경영특구’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산림경영특구는 생산자단체나 마을 단위 협업 경영조직 등이 중심이 돼 전문적으로 산림을 경영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현재 산주 1인당 평균 보유 면적은 2.7㏊에 불과해 영세한 구조지만, 산림경영특구로 지정되면 최소 300㏊ 이상 규모의 단지화가 가능해 산림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된다.

산주는 보유 면적에 따라 안정적인 배당을 보장받으며 개별 경영의 한계를 넘어 공동·협업 체계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구에는 융복합 산림경영 모델이 도입된다.

특구는 밀원수 등 소득·경관 수종과 산채류 같은 산림작물을 재배해 생산 기반을 마련하고 임산물의 저장·가공·포장 과정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한다.

산촌 체험 관광, 임산물 판매와 푸드존 운영 등으로 소득과 일자리도 늘리게 된다.

지금까지는 수십 년간 산림을 가꾼 뒤 벨 나이에 도달한 나무만 벌채할 수 있었고 어렵게 목재를 수확하더라도 실제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은 극히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특구에서는 융복합 산림경영을 도입함으로써 매년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소득을 창출할 수 있으며 목재 중심의 단일 구조보다 높은 수준의 경제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산불 복구 조림지는 산림 부문 배출권 거래제 외부 사업 등록으로 산림의 탄소흡수 실적을 매각할 수 있으며 친환경농업직불금을 활용하면 추가 소득도 확보할 수 있다.

도는 올해 내 의성군 점곡면 동변리 일원에 약 500㏊ 규모로 시범사업을 계획 중이다.

이 지역은 2018년 선도 산림경영단지로 지정돼 다양한 산림사업을 추진해 왔으나, 지난 봄 초대형 산불로 대부분의 사업지가 전소됐다.

경북도는 산주들과 협의를 거쳐 이 지역을 산림경영 특구로 지정하고 목재생산림 조성과 함께 지역 특화 임산물 재배단지, 대단위 밀원식물 단지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 시범사업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미흡한 부분을 보완해 내년에는 다른 산불 피해 시군으로까지 특구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도는 특구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정부에 △특구 사업자가 사업계획에 따라 산림사업을 시행하는 경우 국가 등이 사업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융자하거나 보조할 수 있도록 명문화하고 △특구 지정 때 벌채, 작업로 개설, 임산물 재배 등을 위한 형질변경 인허가 절차를 원스톱으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관련 시행령 개정을 건의할 계획이다.

조현애 경북도 산림자원국장은 “산림경영특구는 피해 산림의 체계적 복원은 물론 임업인의 안정적 소득과 산촌 재생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핵심 제도”라며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시행령에 필요한 사항을 반영하고 도민과 함께 ‘바라보는 산에서 돈이 되는 산, 미래 가치 숲’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