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공직사회 기강 ‘붕괴’…뇌물수수 3년 새 3배 급증

입력 2025-10-13 11:19
국민일보DB.

전북 공직사회에 비리 경보가 켜졌다. 최근 3년간 공무원 뇌물수수 사건이 급증하면서 공직윤리가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3일 전북경찰청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해 9월 30일까지 도내 뇌물수수 발생 건수는 총 35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33건에서 100명을 검거했고, 21건(50명)을 검찰에 송치했다. 전북경찰청 관계자는 “도내 전역에서 공무원 관련 비위 첩보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며 “최근 3년간 발생 건수와 송치 인원이 모두 3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도별로는 2022년 6건(5건·18명 검거)에서 2023년 4건(4건·12명), 2024년 12건(11건·36명), 2025년(9월 기준) 13건(13건·34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송치 건수 또한 2022년 4건(11명)에서 2025년 9건(18명)으로 3년 새 두 배 이상 늘었다.

익산시에서는 간판정비사업 과정에서 특정 업체에 일감을 몰아주고 금품과 향응을 받은 혐의로 5급 공무원이 재판에 넘겨졌다. 전주지법 군산지원 형사3단독(재판장 지창구)은 지난달 17일 뇌물수수 및 증거인멸 교사 혐의로 구속기소 된 익산시 사무관 A씨(57)의 첫 공판을 열었다.

A씨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간판정비사업을 담당하며 일부 업체에 수의계약을 몰아주고, 그 대가로 골프 접대와 함께 현금·상품권 등 1300만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또 특정 업체에 “지역 일간지 광고를 대신해 달라”고 요청했다가 “현금으로 주겠다”는 제안을 받고 200만원을 추가로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7월 경찰이 A씨 차량을 압수수색하던 중 현금과 상품권 등 9000만원 상당이 발견돼 논란이 일었다.

당시 A씨는 부하직원에게 “가족에게 연락해 차를 옮겨 달라”는 메모와 차량 열쇠를 건네며 은폐를 시도한 정황도 포착됐다. 익산시는 “사안이 중대하다”며 A씨를 파면 조치할 것을 전북도 인사위원회에 요청했다.

전북도 감사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일부 지자체에서 반복되는 금품수수나 특혜성 계약 비위는 조직 내 신뢰를 약화시키고, 성실하게 일하는 공직자들에게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며 “이 같은 불신이 공직사회 전반으로 번지지 않도록 감사·청렴 교육을 강화하고, 고위직을 중심으로 한 내부 감찰 기능을 상시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단순 징계 차원을 넘어 부패 취약 분야에 대한 사전 예방 시스템을 정착시키는 것이 목표”라며 “도민이 신뢰할 수 있는 투명한 공직문화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전주=최창환 기자 gwi1229@kmib.co.kr